얄팍다식 & 경제 738

K-방역, 타깃시장 세분화로 수출활로 개척

K-방역, 타깃시장 세분화로 수출활로 개척 - 글로벌 공급과잉 속 품목별 유망시장 상이 - K-방역 수출은 2020년 1~8월간 33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84.5%라는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지난 3월 사우디아라비아로의 첫 진단키트 수출을 시작으로 코로나19 진단의료기기, 마스크, 소독제 등 다양한 K-방역 제품을 글로벌 의료보건 시장으로 적기에 진출하여 이루어낸 결과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초기 방역물품 부족 대란을 겪은 세계 각국은 자국 내 생산시스템 구축을 통한 안정적인 보건·방역 물품 공급망을 확보하고, 자국산 우선 원칙을 적용하는 등 까다로운 인허가제도 운영으로 외국기업의 자국 내 시장 진입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방역제품의 시장 유입 증가 및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 경..

팬데믹이 앞당기는 美 재생에너지 시대

팬데믹이 앞당기는 美 재생에너지 시대 - 올 1분기 미국 내 태양열, 풍력 출력 20% 증가 - - 11월 미 대선 결과, 향후 재생에너지 노선 좌우 전망 - 코로나19로 초래된 팬데믹이 미국의 재생에너지 시대를 앞당기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그룹 딜로이트(Deloitte)는 올해 1분기 미국 내 태양열과 풍력 출력이 20% 증가했으며, 코로나19가 탄소 감축에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팬데믹으로 인한 격리 기간 지구의 대기 질 개선을 경험한 인류의 환경에 대한 관심과 기대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이유다. 또한 최근 하버드대학교 생물통계학부 연구진이 발표한 '미국 내 대기오염 노출과 코로나19 사망률' 연구에 따르면 장시간 미세먼지에 노출된 환경에 살던 환자..

2020년, 글로벌 교역을 좌우할 5대 리스크

3개월 남은 2020년, 글로벌 교역을 좌우할 5대 리스크는 WTO 항공기 분쟁... 미 대선... WTO 사무총장 선출... 디지털세... 브렉시트...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기사에서 올해가 끝나는 향후 3개월이 세계 무역체제의 혼란이 가속화되거나 회복의 길로 들어설지를 가르는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면서 무역에 영향을 미칠 5가지 주요 리스크를 제시했다. 한국무역협회 워싱턴 지부의 도움으로 내용을 정리했다. ① 세계무역기구(WTO) 항공기 분쟁 WTO 중재자 3명으로 구성된 패널은 조만간 미국 보잉에 대한 불법 보조금 지급에 대해 유럽연합(EU)이 미국에 보복할 수 있는지, 한다면 얼마나 보복할지 결정할 예정이다. EU는 WTO에 미국산 제품 112억 달러에 대해 보복할 권한을 요청했지만 에..

코로나19시대 의료분야 RFID 기술 활용 트렌드

코로나19시대 의료분야 RFID 기술 활용 트렌드 - 비대면 문화의 일상화로 의료분야에서 각광받는 RFID 기술 - - SaaS, 블록체인 등 혁신기술과 융합한 RFID, 포스트 코로나 시대 RFID 나아갈 방향성 엿보여 - 공급망 관리, 재고 관리, 도난 방지, 신분 증명에 다양하게 활용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다시 재조명받고 있다. SaaS, 블록체인기술과 융합돼 의료분야에서 빠르게 진화하는 RFID 활용 트렌드를 살펴봄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RFID 기술의 방향성을 들여다본다. RFID란 RFID는 QR코드, 바코드, 그리고 지문 인식과 같은 자동 식별 및 데이터 캡처 시스템(Automatic iden..

뉴질랜드 간편식 시장 트렌드

뉴질랜드 간편식 시장 트렌드 - 시장규모 4억6천만 달러로 꾸준한 성장 전망 - - 코로나19로 외식 줄고 집에서 식사하는 가정 늘어 - 안전하고 편하게 집에서 즐길 수 있는 근사한 간편식 코로나19는 뉴질랜드의 많은 일상을 바꿔 놓았다. 그중에서도 사회적 거리 두기는 점차 뉴노멀(New Normal)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8월 중순 두 번째 록다운을 경험한 뉴질랜드 제1의 경제도시 오클랜드는 8월 말 록다운이 해제된 이후에도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을 계속 실시하고 있어 레스토랑이나 카페에서도 테이블 간 거리 두기가 엄격하게 시행 중이다. 이러한 여파로 예전과 같이 많은 사람이 북적이는 레스토랑이나 카페는 당분간 찾아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반면에 간편하고 또 안전하게 집에서 한 끼 식사를 해결할 수 ..

한국-싱가포르 신속통로, 입국신청 절차와 필요한 서류는?

한국-싱가포르 신속통로, 입국신청 절차와 필요한 서류는? - 9월 4일부로 필수 비즈니스 목적 단기방문 입국절차 간소화 합의 - - 입국 전후 코로나 검사 음성판정 조건 하에 14일 격리조치 면제 - 9월 4일부로 한국에서 싱가포르행 필수 비즈니스 출장이 가능해진다. 싱가포르는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유입을 막기 위해 3월 24일부터 국적을 불문하고 모든 단기 방문자의 싱가포르 입국을 제한하였다. 그러나 이후 코로나19를 원활하게 통제하고 있는 일부 국가에 한해 필수 비즈니스 목적의 단기방문을 상호 허용하는 신속통로(Fast Lane)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 중국,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브루나이 이후 다섯번 째로 한국과 신속통로를 시행키로 합의하였다. 한국과 싱가포르는 긴밀한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

마스크 생산 회사 급증, 허위 주문으로 인한 기업 피해와FDA, CE 거짓 대행사 증가로 피해 속출

마스크 생산 회사 급증, 허위 주문으로 인한 기업 피해와 FDA, CE 거짓 대행사 증가로 피해 속출 중국 마스크 생산 기계가 국내로 줄지어 들어오고-허위 주문으로 인한 구매자 못 믿어 현미경 검증에 나서, 국내 FDA 와 CE 등록 대행 사기도 함께 성행하고 있다. 코라나 19가 장기화 되면서 마스크 생산에 많은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지면서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그 틈을 타고 브로커들이 허위 주문에 나서며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시점이 되었다. 미국 식약청 FDA 로고 와 유럽 CE 로고 이름만 법인인 사업자등록증으로 구매의향서를 만들어 일확천금을 꿈꾸는 사람들이 늘면서 조억 원 단위 마스크를 구매한다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고 마스크 생산 회사 관계자들이 말하고 있다...

중국 기술수출 금지 및 제한 목록 수정

중국 기술수출 금지 및 제한 목록 수정 - 제조업과 컴퓨터 관련 서비스업 겨낭 수출 제한내용 다수 포함 - - 더욱 강화된 지식재산권 보호 - 8월 28일 중국의 상무부와 과학기술부는 "중국 기술수출 금지 및 제한 목록(《中国禁止出口限制出口技术目录》)(상무부 과학기술부 2020년 제38호 공고)"을 수정해 군민(军民)겸용 기술은 추후 수출관리제도에 포함시킨다고 발표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기술 수출입 관리조례(《中华人民共和国技术进出口管理条例》)"에 근거하면 '기술 수출'의 정의는 중국 경내로부터 경외로 무역, 투자 혹은 경제기술합작 등의 방식을 통해 기술을 이전하는 행위를 뜻한다. 특허권 양도, 특허신청권 양도, 특허실시 허가, 비밀기술 양도, 기술서비스와 기타 방식의 기술이전이 여기에 포함된다. 즉 해외..

"제2의 테슬라는?" 美 전기차시장 박차 가한다

"제2의 테슬라는?" 美 전기차시장 박차 가한다 - 자동차 BIG 3, 전기차 새 모델 출시 줄이어 - - 전기차 스타트업 춘추전국시대, 구독경제 도입도 - 팬데믹에도 미국 자동차 업체들이 전기차 신규 모델을 연이어 출시하며 ‘전기차 시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매니아 층을 확보하며, 전기차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미국 대표적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Tesla) 주가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6개월 사이 6배 가까이 폭등해 현재 1895달러 선(8월 19일 기준)까지 올라섰다. 테슬라 시가총액은 완성차 업계 1위였던 도요타자동차를 넘어섰다. 여기에 수소전기트럭 스타트업 니콜라(Nikola) 주가 상승 등의 현상을 토대로 미국의 전기차 시장이 팬데믹 이전보다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라고 업계 전문..

‘K-Farm’으로 스마트팜 표준 만든다

‘K-Farm’으로 스마트팜 표준 만든다 온라인 컨퍼런스 개최…인공지능 결합된 3세대 모델로 진화 중동의 아랍에미리트(UAE)에서는 우리나라의 팜테크(farmtech) 기업이 운영하는 스마트팜(smart farm)이 정부 관계자들의 필수 견학코스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랍에미리트 식량안보 특임장관까지 스마트팜을 방문하여 주목을 끈 바 있다. 팜테크는 농장(farm)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서 농업과 양식업, 축산업 등에 ICT를 결합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신개념 기술을 가리킨다. 팜테크 전문 기업인 N사는 컨테이너를 활용한 모듈형 자동화 수직농장 개발 및 운영 서비스를 아랍에미리트 현지에서 제공하고 있다. 국내 기업이 아랍에미리트 현지에 마련한 스마트팜 시설 ⓒ KOTRA N사는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