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팍다식 & 경제 738

대일 무역적자 200억 달러 돌파... 불매운동 약화되고 대일 수출도 줄어

대일 무역적자 200억 달러 돌파.. 불매운동 약화되고 대일 수출도 줄어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여파로 급감했던 대일 무역적자가 지난해 다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로 일본으로 수출은 부진하지만, 일본산 불매운동이 주춤하면서 일본산 소비재 등의 수입은 다시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일본과 무역에서 208억4천만달러의 무역적자를 냈다. 전년의 191억6천만달러보다 16억8천만달러 늘어난 액수다. 일본으로 향한 수출물량은 전년보다 11.8% 급감한 250억8천만달러였으나 일본에서 들여온 수입 물량은 3.5% 소폭 감소한 459억2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일본은 한국의 무역 적자 1위 국가로, 일본과 교역에서 우리나라는 2004년부터 연간 200억..

“내년엔 뭘 먹고 있을까” 홀푸드 선정 ‘2021년 식품 트렌드’

“내년엔 뭘 먹고 있을까” 홀푸드 선정 ‘2021년 식품 트렌드’ [리얼푸드=육성연 기자]토마토 하나라도 지금 이 시기에는 모든 것이 달라진다. 내년 이 맘때쯤 우리는 어떤 토마토 식품을 선택하고, 어떻게 구입하며, 어디서 먹고 있을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우리는 식량 생산의 중요성과 새로운 식품의 방식을 빠르게 배우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식품 트렌드는 오는 2021년을 기점으로 유례없는 큰 변화가 일 것으로 보인다. 미국 최대 친환경 식품 유통체인 홀푸드(Whole Foods)는 최근 ‘2021년 식품 트렌드’ 10가지를 발표하면서 “소비자들이 요리에 새로운 열정을 갖게 되고, 아침식사를 더 많이 하는 등 이전과 다른 행동 패턴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정의 ..

식물 기반 대체육, 미국 식품업계에서 선택 아닌 필수

식물 기반 대체육, 미국 식품업계에서 선택 아닌 필수 - 맥도날드, 식물기반 대체육 라인 '맥플랜트(Mcplant)' 출시 발표 - - 코로나19로 인해 육류산업 타격받은 반면, 식물기반 대체육 시장 크게 성장 - 일반고기와 맛과 식감이 매우 유사한 식물 기반 대체육은 최근 식품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로 주목받아왔다. 대표적인 식물기반 대체육 제조업체 비욘드미트(Beyond Meat)와 임파서블푸즈(Impossible Foods)의 제품은 이미 주요 소매업체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으며 버거킹, KFC, 던킨 등 주요 패스트푸드 체인도 식물 기반 대체육을 사용한 메뉴를 내어놓았다. 최근 미국 시장점유율 1위 패스트푸드점 맥도날드도 식물기반 대체육 라인인 '맥플랜트(McPlant)'의 출시..

중국, 간편하고 빠른 식사 대용제품 급부상

중국, 간편하고 빠른 식사 대용제품 급부상 - 매년 두 자릿수의 성장률 유지 - - 관련 업계의 법적 규정 부재에 따른 제품의 과대홍보 문제로 이에 따른 대응책 마련 중 - ​ 식사 대용제품의 수요 증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중국의 현대인들은 규칙적인 식사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다. 불규칙한 생활패턴과 균형적이지 못한 식생활로 인해 중국인들 또한 비만, 위염, 영양 불균형 등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 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헬스장과 체육시설 이용이 제한되며 자택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 또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간편하고 영양이 풍부한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관련 시장도 빠른 성장을 거듭하..

미국 수출관리규정(EAR) 매뉴얼

미국 수출관리규정(EAR) 매뉴얼 미국이 2020년 8월 화웨이 최종 제재안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제3국에서 수출되는 물품들도 미국의 기술과 제품이 일정 최소기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적으로 화웨이나 그 계열사에 수출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미국의 화웨이 제재에 따라 우리 기업이 미국 수출관리규정(EAR) 전반에 대해 이해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어, 동 내용을 매뉴얼로 정리했다. * 상세한 내용은 붙임의 매뉴얼 원문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주의사항 동 매뉴얼은 한국무역협회가 회원사의 수출입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동 사안에 전문성이 있는 미국 현지 로펌에 의뢰하여 제작, 번역하여 배포하는 것으로, 동 매뉴얼에 근거한 제반 경영상의 결정에 대해 한국무역협회는 일체의 법적 책임을 지지 ..

중국 화장품, 온라인이 제1의 판매채널

중국 화장품, 온라인이 제1의 판매채널 - 글로벌 브랜드, 로컬브랜드 모두 온라인 유통에 집중 - 2019년 중국 화장품시장 2019년 중국 화장품 시장 소매액은 2992억 위안에 달하며 전년 동기대비 12.6% 증가했다. 2017~2019 중국 화장품산업 시장 소매액 증가 추세(단위: 억 위안, %) 자료: 前瞻网 화장품기업 지역 분포 화장품 기업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2020년 5월 20일 기준 광둥성에 화장품 생산기업 수가 가장 많으며, 전체의 약 55%를 차지한다. 그 다음은 저장성이 11%를 차지한다. 기업수 상위 5지역이 중국 전체 화장품 생산기업의 79%를 차지한다. 2020년 중국 화장품 생산기업수 분포 상황 자료: 前瞻网 2019년 프리미엄 화장품 판매규모 1518억 위안 최근 몇 년간..

Is fake meat better for you, or the environment?

Is fake meat better for you, or the environment? 가짜 고기가 당신이나 환경에 더 좋은가요? Based on calories alone, plant-based protein is healthier than animal-based meat. But there's much more to the story. Fake meat has found its way into mainstream fast-food chains. But is the hype to be believed? Chelsea Stahl / NBC News McDonald’s has joined other fast-food giants like Burger King to launch its own plant-ba..

일본, ‘대체육’ 시장이 뜬다

일본, ‘대체육’ 시장이 뜬다 한국에도 진출한 일본의 인기 햄버거 프랜차이즈 ‘모스버거’가 지난 3월 26일부터 식물성 재료만 사용해 만든 새 메뉴 ‘그린버거’를 도쿄, 오사카 등 일부 매장에 선보여 화제를 모았다. 해외 프랜차이즈 업계의 경우 고기를 먹지 않는 소비자들을 위해 대체육을 사용한 제품을 메뉴에 포함시킨 경우는 많지만 모스버거처럼 동물성 재료를 아예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대체육은 콜레스테롤, 포화지방 등이 거의 포함돼 있지 않아서 건강에 좋은데다가 지구의 환경에 끼치는 부하도 적기 때문에 ‘착한 고기’라고 할 수 있다. 모스버거는 과거에도 콩으로 만든 햄버거 패티인 ‘소이 패티’를 출시한 적이 있는데 그린버거에도 대두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을 주원료로 하는 패티가 사..

태국, 한국 드라마(K-Drama)가 한식(K-Food) 열풍의 지평을 넓히다

태국, 한국 드라마(K-Drama)가 한식(K-Food) 열풍의 지평을 넓히다 - 드라마 계기 K-Food 열풍의 시초는 ‘대장금’, 2020년 코로나 사태와 ‘이태원 클라쓰’로 열풍 확대 - - 가정식 관련 고추장, 쌈장 등 소스류와 라면, 떡볶이 등의 즉석식품 인기 - - 한식당들은 한국드라마 등장 메뉴를 마케팅 수단으로 적극 활용 - 한국 드라마, 한식 그리고 한류 2000년대 초반, 한국 드라마와 케이팝(K-Pop)이 태국 TV 스크린을 장식하기 시작하면서 한국 문화의 인기가 서양 문화와 일본 문화 수준까지 솟아오르며 시작된 ‘한류’의 열풍이 2020년이 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제는 태국 TV 방송사들의 한국 TV 프로그램 및 드라마 방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2020년 10월 현재..

‘할랄’로 수출대박… 일부 사례 불구 장벽 커

‘할랄’로 수출대박… 일부 사례 불구 장벽 커 수출기업, '18억 인구·GDP 8000조원' 이슬람 시장 공략 박차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은 글로벌 히트를 친 명실상부한 'K-푸드'라고 할 수 있다. '영국 남자'로 잘 알려진 유튜버 조쉬가 불닭볶음면의 매운맛에 도전하는 영상을 올린 것을 시작으로 '불닭볶음면 챌린지(fire noodle challenge)'는 전 세계에서 유행처럼 번져나갔다. 이에 힘입어 불닭볶음면은 2012년 출시 이후 8년 동안 무려 20억 봉지가 팔려나갔다. 그런데 중국과 함께 식품업계 최대 수출 시장 중 하나로 꼽히는 동남아 시장에서 팔리는 불닭볶음면은 다른 지역으로 수출되는 제품과 차이가 있다. 가장 큰 차이는 동물성 기름이 쓰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슬람교에서 요구하는 '할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