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팍다식 & 경제 738

일본기업들이 보는 대만 대체육 시장 보고서

台‌湾‌の‌代‌替‌肉‌マー‌ケッ‌ト‌の‌動‌き‌を‌ま‌と‌め‌て‌み‌た (대만의 대체육 시장의 움직임을 정리해 보았다) 気候変動を防ぐ目的で動物製品を減らす人は世界的に増加傾向にあり、それに伴いプラントベース食品、とりわけ代替肉製品を開発・販売する企業の数も増えてきている。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목적으로 동물제품을 줄이는 사람은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랜트 기반 식품, 특히 대체 육제품을 개발∙판매하는 기업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台湾では元々宗教的理由から全体に占めるベジタリアン人口の割合が約10%と多いことに加え、近年では環境問題や動物愛護の観点からベジタリアン・ヴィーガンになった若者の数も増え、代替肉市場における需要は今まで以上に高まってきている。 대만에서는 원래 종교적 이유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채식주의자 인구의 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식량에 미치는 영향

How Donald Trump's Presidency Has Affected Our Food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식량에 미치는 영향) Photos: Sonder Quest on Unsplash and the White House Archives After a tumultuous and chaotic four years, Donald Trump’s presidential run is coming to an end as Joe Biden assumes the presidency. 소란스럽고 혼란스러운 4 년 만에 조 바이든이 대통령직을 맡으면서 도널드 트럼프의 대선 행보는 막을 내리고 있다. Four years of policymaking by the executive branch in that tim..

[특집]비건 대체육 30개사 페이크 미트 종류의 장점&단점(일어번역본)

비건 대체육 30개사 페이크 미트와 유사 고기, 가짜고기 종류의 장점&단점 유럽에서부터 퍼지기 시작하여, 지금은 일본에서도 실천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비건이나 채식주의자 등의 채식주의. 동물 애호나 환경 문제, 자신의 건강 등, 여러가지 이유로 「고기를 먹지 않겠다.」라고 결정하는 채식주의자이지만, 「고기를 싫어해서」라고 하는 사람은 의외로 소수이다. 「고기 맛은 좋아하지만 먹지 않는다」라고 하는 채식주의자에게 있어서 유사 고기는 빼놓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먹으면 환경이나 건강에도 좋다고 하는 화제거리가 되고 있으며. 그런 페이크 미트(대체육) 시장에서는, 겉보기에도 식감, 풍미까지도 닮은 「최고의 대체육」 개발을 목표로, 전세계의 기업이 격전을 벌이고 있다. 거기서 이번에는 세계에서 가장 주목..

미국, 전기차 개발 전성시대

미국, 전기차 개발 전성시대 - 2020년 미국의 전기차 판매 60만 대 이상 - - 전기차로 세계 1위 복귀하려는 미국 - 미국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 시대를 기정사실로 여기고 있다. 1892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전기선으로 연결된 전기버스가 도로에 처음 등장하면서 전기차의 가능성이 알려졌지만 배터리 기술의 한계로 내연기관에 길을 내어줬다. 이제는 기술 향상으로 전기차가 실현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친환경차에 대한 공약도 미국의 전기차 시대를 촉진한다. 그는 2030년까지 충전소 50만 개 추가 설치, 모든 버스와 정부 차량의 전기차로 전환, 세제 혜택, 전기차 제조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소비자 인센티브 제공 등을 약속했다. 미국의 전기차 구매자는 40~60세가 40%, 20세~40세가 35%..

美 소스시장 성장, 한국 장류 수출 기회로 활용하라

美 소스시장 성장, 한국 장류 수출 기회로 활용하라 - 코로나19로 가정에서 요리를 즐기는 소비자 증가로 시장 성장 - - 한식 인기와 매운맛 인기로 고추장 수출 기회 확대 기대 -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미국 식품시장에서 소스류 판매가 크게 증가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소스류(소스·드레싱·양념류를 포함) 시장 규모는 310억4320만 달러로 전년대비 17.4% 증가했다. 2015~2020년 해당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 3.8%를 훌쩍 뛰어 넘었다. 코로나19가 키운 미국 소스시장 미국 식품 시장의 소스류 인기가 뜨겁다. 코로나19 확산 저지를 위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외식이 제한되고 식당들이 경영난으로 영업을 중단하면서 많은 소비자들이 직접 요리를 해먹는 방식..

환각작용 없는 대마 ‘칸나비디올’ 주목하는...

환각작용 없는 대마 ‘칸나비디올’ 주목하는 대규모의 홍콩 시위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현재 홍콩 사회는 불안과 스트레스, 불확실성으로 가득차 있다. 최근 홍콩대학교의 조사 결과 응답자의 약 70%가 우울증을 경험했으며, 40%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홍콩 언론은 정신 건강에 좋은 운동이나 식이 요법 등을 연일 소개하고 있으며, 식품업계는 정신 건강 약효 식품을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특히 불안감을 줄이고 평온함을 유도하는 칸나비디올(CBD) 성분을 넣은 제품이 속속 등장하는 중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어두운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홍콩의 정신건강 기능 관련 식품 시장은 캡슐 형태의 건강 보조제에서 차, 음료 등으로 ..

식물성 가재와 스팸, 중국 '대체육' 시장의 발전

식물성 가재와 스팸, 중국 '대체육' 시장의 발전 ▲ 중국의 2020 식품 트렌드 ‘대체육’ 최근 중국에서 가장 떠오르고 있는 ‘푸드테크’ 트렌드는 바로 식물성고기 즉 ‘대체육’이다. 식물성 트렌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뜨거운 식품 화두중 하나지만, 서양 지역은 일반적으로 ‘햄버거 패티’, ‘스테이크’ 정도에 중심을 두고 있다면 중국은 다양한 가정식 음식들에 접목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체육이란 ‘진짜 고기’처럼 만든 인공 고기로 동물의 세포를 배양한 ‘배양육’, 혹은 콩과 같은 단백질 식물 성분을 활용한 ‘식물성 고기’로 구분되는데, 배양육은 아직 안전성이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대체육 상품은 대부분 식물성 고기로 구성돼있다.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자료에 따..

아시아 태평양이 COVID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방법

아시아 태평양이 COVID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방법 태국 방콕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COVID-19)가 발생하면서 노점상과 마스크를 쓰고 있는 보행자. (사진 : Zephyr_p / Shutterstock) 경제 회복을 촉진하고 사회 안정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과감한 정책 그리스 신화의 다목적 괴물 히드라와 마찬가지로 코로나 19는 우한에서 첫 사례가 확인된 지 1 년 만에 진압하기 어렵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경우이 질병은 전염병 자체, 봉쇄 조치의 경제적 영향, 위기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의 반향 등 세 가지 충격을 전달했습니다. 그러나 지역에 대한 COVID의 장기적인 영향은 정책 결정과 정부의 대응 방식보다 바이러스에 덜 의존할 것입니다. 이러한 국내 및 외부 충격..

영국에 유럽 최대의 대체육 제조공장 오픈

영국에 유럽 최대의 대체육 제조공장 오픈 영국에 유럽 최대 규모의 대체육 공장이 탄생했다. 식물성 대체육 제조를 직접 관여하는 플랜트&빈(Plant & Bean)이 영국에 대체육 제조 시설을 오픈한 것이다. 이 새 시설은 영국 링컨셔의 보스턴에 개설됐다. 26만m2(65에이커), 5.5만t이나 되는 생산규모의 이 시설은 중소기업이나 대기업 인터내셔널 브랜드의 제조거점으로 사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주로 영국과 유럽 전역에서 증가하는 플랜트 베이스 식품에 대한 수요에 응할 수 있도록, 이번에 이 공장 개설의 계획이 결정되었다. 플랜트 & 빈(Plant & Bean) 대체 육 제조공장(출처: Plan t& Bean) 플랜트 & 빈의 CEO인 에드 버크는 식품매체인 푸드 네비게이터(Food Navigator)에..

영국과 EU, 미래관계 협상 타결로 완전한 브렉시트 돌입

영국과 EU, 미래관계 협상 타결로 완전한 브렉시트 돌입 - 영국과 EU, 오랜 줄다리기 끝에 마침내 미래관계협상 타결 - - 브렉시트 초기 통관 지연 및 혼란은 불가피할 전망 - 지난 12월 24일, 영국과 EU는 영국의 브렉시트 합의 이후 진행한 미래관계 협상 끝에 상호합의를 이끌어내며 긴 여정의 마침표를 찍었다. 영국은 20년 1월 31일 브렉시트로 공식적으로 EU를 탈퇴했으나 20년 말까지 전환기간을 설정해 기존의 무역관계를 유지하며 EU와 무역 협상 등 미래관계 협상을 추진해왔다. 당초 협상 난항으로 노딜 브렉시트 가능성이 고조되기도 했으나 전환기간 종료를 불과 일주일 앞두고 극적 합의에 성공해 2021년 1월 1일부로 완전한 브렉시트를 맞이하게 됐다. 협상 결과 및 주요 내용 이번 협상의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