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

늘어나는 중국의 싱글족! 중국 1인 경제 소비 트렌드

늘어나는 중국의 싱글족! 중국 1인 경제 소비 트렌드 - 中 독신 가구 증가로, 1인 경제에 대한 세분화된 소비자 타깃팅 필요 - - 1인 경제 주요 소비층의 고품질, 디자인, 자기만족을 위한 지출 성향 등 주요 특징 분석 - 중국의 경제발전으로 1인당 소득이 높아지고, 일상 생활수준 또한 개선되면서 소비구조 또한 다변화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2020년 중국 전체 엥겔 계수는 30.2%로, 도시지역 29.2%, 농촌 32.7%로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엥겔 계수(Engel coefficient)란, 가계 소비 지출 중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로, 가계의 생활수준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지표이며, 일반적으로 25~30%는 중류(문화생활) 소비군으로 분류된다. AI미디어 컨설팅은 엥겔계수..

포스트코로나 新마케팅, 중국의 라이브커머스 시장

포스트코로나 新마케팅, 중국의 라이브커머스 시장 - 2020년 중국 온라인 소매판매 큰 폭 성장, 라이브커머스·쇼트클립 등 온라인 소비구조 다변화 추세 - - 온라인 시장의 새로운 마케팅 모델 중 하나 - 중국 정부의 내수확대 전략, 코로나 19로 인한 중국 내 소비 및 유통시장의 급격한 디지털 전환 추세에 따라 새로운 온라인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이 세분화 및 고도화되고 있다. 2020년 말 기준, 중국의 온라인 이용자는 9억8900만 명으로 '20년 3월 대비 8540만 명이 증가했다. 또한 2020년 온라인 판매 규모는 11조7600억 위안으로 집계돼 전년대비 10.9% 증가했으며, 이 중 실물 상품의 온라인 판매는 9조7600억 위안으로 사회 전체 소비재 판매액의 24.9%를 차지했다. 2020년 ..

메뉴에서 고기를 빼면 중국이 어떻게 세계를 바꿀 수 있을까

How China Could Change the World by Taking Meat Off the Menu 메뉴에서 고기를 빼면 중국이 어떻게 세계를 바꿀 수 있을까 It’s lunchtime in Shanghai’s leafy former French Concession, and every table is crammed at David Yeung’s new café and grocery, Green Common. Office workers and shoppers huddled against the January chill are wolfing down plates of katsu curry, noodles and spicy dumplings. 상하이의 잎이 무성한 옛 프랑스 조계지에서 점심 시간이고..

식물성 가재와 스팸, 중국 '대체육' 시장의 발전

식물성 가재와 스팸, 중국 '대체육' 시장의 발전 ▲ 중국의 2020 식품 트렌드 ‘대체육’ 최근 중국에서 가장 떠오르고 있는 ‘푸드테크’ 트렌드는 바로 식물성고기 즉 ‘대체육’이다. 식물성 트렌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뜨거운 식품 화두중 하나지만, 서양 지역은 일반적으로 ‘햄버거 패티’, ‘스테이크’ 정도에 중심을 두고 있다면 중국은 다양한 가정식 음식들에 접목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체육이란 ‘진짜 고기’처럼 만든 인공 고기로 동물의 세포를 배양한 ‘배양육’, 혹은 콩과 같은 단백질 식물 성분을 활용한 ‘식물성 고기’로 구분되는데, 배양육은 아직 안전성이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대체육 상품은 대부분 식물성 고기로 구성돼있다.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자료에 따..

중국, 간편하고 빠른 식사 대용제품 급부상

중국, 간편하고 빠른 식사 대용제품 급부상 - 매년 두 자릿수의 성장률 유지 - - 관련 업계의 법적 규정 부재에 따른 제품의 과대홍보 문제로 이에 따른 대응책 마련 중 - ​ 식사 대용제품의 수요 증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중국의 현대인들은 규칙적인 식사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다. 불규칙한 생활패턴과 균형적이지 못한 식생활로 인해 중국인들 또한 비만, 위염, 영양 불균형 등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 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헬스장과 체육시설 이용이 제한되며 자택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 또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간편하고 영양이 풍부한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관련 시장도 빠른 성장을 거듭하..

중국 화장품, 온라인이 제1의 판매채널

중국 화장품, 온라인이 제1의 판매채널 - 글로벌 브랜드, 로컬브랜드 모두 온라인 유통에 집중 - 2019년 중국 화장품시장 2019년 중국 화장품 시장 소매액은 2992억 위안에 달하며 전년 동기대비 12.6% 증가했다. 2017~2019 중국 화장품산업 시장 소매액 증가 추세(단위: 억 위안, %) 자료: 前瞻网 화장품기업 지역 분포 화장품 기업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2020년 5월 20일 기준 광둥성에 화장품 생산기업 수가 가장 많으며, 전체의 약 55%를 차지한다. 그 다음은 저장성이 11%를 차지한다. 기업수 상위 5지역이 중국 전체 화장품 생산기업의 79%를 차지한다. 2020년 중국 화장품 생산기업수 분포 상황 자료: 前瞻网 2019년 프리미엄 화장품 판매규모 1518억 위안 최근 몇 년간..

중국 기술수출 금지 및 제한 목록 수정

중국 기술수출 금지 및 제한 목록 수정 - 제조업과 컴퓨터 관련 서비스업 겨낭 수출 제한내용 다수 포함 - - 더욱 강화된 지식재산권 보호 - 8월 28일 중국의 상무부와 과학기술부는 "중국 기술수출 금지 및 제한 목록(《中国禁止出口限制出口技术目录》)(상무부 과학기술부 2020년 제38호 공고)"을 수정해 군민(军民)겸용 기술은 추후 수출관리제도에 포함시킨다고 발표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기술 수출입 관리조례(《中华人民共和国技术进出口管理条例》)"에 근거하면 '기술 수출'의 정의는 중국 경내로부터 경외로 무역, 투자 혹은 경제기술합작 등의 방식을 통해 기술을 이전하는 행위를 뜻한다. 특허권 양도, 특허신청권 양도, 특허실시 허가, 비밀기술 양도, 기술서비스와 기타 방식의 기술이전이 여기에 포함된다. 즉 해외..

신선함을 배송합니다, 중국 신선식품 콜드체인 물류시장

신선함을 배송합니다, 중국 신선식품 콜드체인 물류시장 - 수요 증가에 따라 신선식품 콜드체인 물류시장 지속적 성장 중 - - O2O 플랫폼 활용, 기술 강점 부각 등으로 시장 공략 가능 -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신선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중국 정부에서는 콜드체인 시장에 지속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O2O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성장에 더해 콜드체인 시장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아직 중국의 콜드체인 산업은 인프라와 기술이 미비하다는 약점이 있기에 이를 공략한다면 시장 진출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콜드체인이란? 콜드체인(Cold Chain)이란 신선식품 등을 수확(생산)한 후 최종 소비지까지 저장 및 운송하는 과정에서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

지금 중국은 라이브 커머스, MCN 전성시대

지금 중국은 라이브 커머스, MCN 전성시대 -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면서 라이브 커머스가 대세로 떠올라 - - 우리기업은 MCN을 활용한 중국 진출 방식에 주목해야 - 코로나19와 5G 시대의 도래로 라이브 커머스는 거대한 잠재 소비를 깨우고 있다. 2020년 중국은 동영상+라이브 커머스+커뮤니티의 황금기라고 할 수 있다. MCN(Multiple-Channel Network)이 각 분야로 확산되어, 왕홍(网红)경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자리잡으면서, 향후 시장 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MCN은 중국 인터넷 경제의 핵심 MCN은 다중 채널 네트워크를 뜻하며, 다중 채널을 통해 제작, 보급, 협력관리, 자본 등 분야에서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왕홍(网红)의 지속적인 콘텐츠를 보장하고 ..

코로나19가 가져온 중국 온라인 소비 트렌드 변화

코로나19가 가져온 중국 온라인 소비 트렌드 변화 - 기존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O2O로 구매채널 확대 - - 위생기능이 가미된 가전제품 등 '홈코노미' 상품 판매 증가 - 코로나19 이후 중국 내 비대면 서비스 수요 증가 등 인식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 사이에서 구매채널과 소비품목 등 다방면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온라인 구매가 친숙한 빠링허우(80后), 지우링허우(90后)로 불리우는 1980~90년대 출생 젊은 세대는 새로운 상황에 맞춰 자신만의 특색을 살린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이런 변화는 중국 내 주요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19가 가져온 소비품목의 변화 사회적 거리두기, 자가격리 등으로 외출을 삼가하는 분위기 때문에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다른 국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