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팍다식 & 경제 738

신선함을 배송합니다, 중국 신선식품 콜드체인 물류시장

신선함을 배송합니다, 중국 신선식품 콜드체인 물류시장 - 수요 증가에 따라 신선식품 콜드체인 물류시장 지속적 성장 중 - - O2O 플랫폼 활용, 기술 강점 부각 등으로 시장 공략 가능 -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신선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중국 정부에서는 콜드체인 시장에 지속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O2O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성장에 더해 콜드체인 시장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아직 중국의 콜드체인 산업은 인프라와 기술이 미비하다는 약점이 있기에 이를 공략한다면 시장 진출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콜드체인이란? 콜드체인(Cold Chain)이란 신선식품 등을 수확(생산)한 후 최종 소비지까지 저장 및 운송하는 과정에서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

일본 바이러스와의 전쟁, 항균 시장이 터졌다!

일본 바이러스와의 전쟁, 항균 시장이 터졌다! -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한 항균 소재 수요 증가 - - SIAA에 가입하는 일본 기업 증가하는 추세 -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에 의한 의식 변화가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내고 있다. 코로나 2차 감염을 피하기 위해 ‘항균, 제균’ 제품에 대한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이다. 기업들이 이에 따라서 전기 기기업체 및 소재, 섬유제조사들이 비 접촉과 항균기능을 부가한 신제품 및 신기술을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마스크에서 출·퇴근열차까지 항균 시장 터지다 항 바이러스 소재 생산이 호조를 겪고 있다. 사람 손이 닿는 모든 영역이 진출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는 탓이다. 항균 소재 생산기업인 신슈세라믹스(信州セラミックス)사에 의하면 기존 항균 소재를 입히던 스포츠웨어..

러시아 식품 바이어가 말하는 유망 K-FOOD

러시아 식품 바이어가 말하는 유망 K-FOOD - 러시아 소비자들, 한국 식품 품질에 신뢰 높아 비싸도 구입 - - 러시아 시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접근법이 필요 - 러시아는 7월 초 현재 일일 코로나 확진자가 6000명 넘게 나오고 있다. 확산세가 절정이었던 5월 매일 1만 명 넘게 확진자가 쏟아졌던 것에 비하면 다소 진정됐다고 하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코로나19는 전 세계 소비 패턴을 바꾸고 있다. 러시아도 예외가 아니다. 식품과 관련해 주목되고 있는 트렌드는 러시아에서도 역시 가정용 간편식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국 식품의 러시아 시장 진출의 기회가 조금 더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KOTRA 블라디보스톡 무역관은 러시아 식품 바이어를 만나 한국 식품 중 어떤 상품이 유망..

재난적인 언택트 시대에 콘텐츠는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재난적인 언택트 시대에 콘텐츠는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최홍규 (think.bc399@gmail.com) EBS 연구위원 코로나19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기존 인간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활동들이 언택트(Untact) 형태로 수렴되는 모양새다. 산업과 교육 현장은 물론이고 사회문화와 개개인의 소소한 일상사까지 오프라인 접촉은 사라지고 온라인을 통한 원격(遠隔) 활동이 보편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원격 활동은 인터넷 네트워크라는 물적 기반으로 통해서 이뤄진다고 보면, 코로나19 상황에서 다양한 원격 활동을 돕는 매개체는 단연 인터넷 네트워크 위에서 전달되는 콘텐츠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원고에서는 장기화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콘텐츠가 할 수 있는 역할과 바람직한 콘텐츠 역할론을 위해..

영국 개인보호장비(PPE) 구매 가이드라인

영국 개인보호장비(PPE) 구매 가이드라인 주영국대사관 조달관 □ 개요 ◦ EU Regulation 2016/425 (EU PPE Regulation) 하에 모든 개인보호장비(PP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는 적합성평가 절차(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를 거쳐야 하고, CE마크를 부착해야 판매 가능 ◦ 코로나 위기 상황하에 신속한 PPE 구매 및 공급을 위하여 유럽위원회는 EU Commission Recommendation 2020/403을 통하여 CE인증 절차를 간소화하도록 권고하였으며, 영국정부는 이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 □ 주요내용 1) PPE를 정부에 판매 또는 기부하는 경우 ◦ (내용) 정부 및 의료종사자(NHS)를 위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캐나다 유망상품 및 부진산업 전망

포스트 코로나 시대, 캐나다 유망상품 및 부진산업 전망 - 코로나19 이후 실내 여가용품, 운동기구, 전자가전제품 등 매출 상승 기대 - - 원격의료장비, 통신기기, 코로나 앱 등 수요 증가 예상 - - 2차 확산 예방 개인위생용품 및 안전장비 수요 증가 전망 - 코로나19가 장기화로 접어들면서 전 세계인들의 일상에 큰 변화가 생기고 있다. 캐나다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해 국경폐쇄, 물품 공급망 파괴, 자가격리 의무화, 영업 등 경제활동 셧다운, 원격진료 및 온라인 수업 일상화 등 이례적인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과 소비, 교육, 업무,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Un-tact) 문화가 정착되면서 과거에는 비정상으로 여겨졌던 현상이 표준이 되는 ‘뉴노멀’의 세상을 맞이하게 됐다. 코로나1..

코로나19로 대두된 싱가포르 식량난, 대처방안은?

코로나19로 대두된 싱가포르 식량난, 대처방안은? - 2030년까지 식량 국내생산 10% → 30% 확대 목표 - -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농업’ 성장 유망 - 장기화되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공급망 혼란 및 식품수출제한 조치 등으로 글로벌 식량위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이에 국내 식품 소비량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싱가포르 내 식량안보 강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작은 도시국가의 특성으로 제한적인 토지를 보유한 싱가포르는 현재 식량자급율을 높이고자 어반팜, 어그테크 등 미래 농업의 연구 및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코로나로 인한 싱가포르 내 식량 공급의 변화와 그 대응방안으로 떠오르는 도심 속 스마트 농업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싱가포르 식량자급률 10% 남짓, 식량안보 시급..

일본, 식품위생법 개정으로 수입규제 강화

일본, 식품위생법 개정으로 수입규제 강화 - 위생규제가 강화되는 일본의 식품시장 - - 우리 식품기업 또한 HACCP 의무화가 적용되는 바(2020.12.부), 적극적인 도입 노력 필요 - 일본 후생노동성은 식품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지난 2018년 식품위생법 개정을 통해 국내 식품업자의 HACCP(Hazard Analysis &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안전관리인증 기준) 도입을 의무화하는 한편, 식육제품에 대해서는 수출업자 또한 HACCP 도입을 의무화하였다. 또한, 2020년 6월 1일부터 유제품 및 복어, 생굴에 대해서 위생증명서 제출이 의무화되는 등 식품수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개정된 일본의 식품위생법에 따른 HACCP 제도 및 수입규제 강화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세계시장으로 가는 식품업계

세계시장으로 가는 식품업계 식품업계가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국내 식품시장의 규모는 제한적이고 경쟁이 워낙 치열해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살길을 찾아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것이다. 8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해외시장 진출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 가운데 하나는 오리온이다. 실제로 오리온의 지난 1분기 매출을 보면 해외시장의 매출이 64%를 차지할 정도로 글로벌 사업의 비중이 크다. 법인별로 봐도 작년 국내 시장 매출은 전년보다 2.9% 성장하는 데 그쳤지만, 중국에서는 4.4%, 베트남에서는 7.8%, 러시아에서는 19.1% 성장했다. 해외시장에 진출한 품목은 오리온의 대표상품인 초코파이부터 스윙칩, 오!감자별, 꼬북칩까지 다양하다. 여기에 베트남의 쌀과자, 러시아의 베리맛 초코파이 등 현지인의 ..

지갑 얇아진 미국 소비자, 스토어브랜드 찾는다

지갑 얇아진 미국 소비자, 스토어브랜드 찾는다 - 올 1분기 스토어브랜드 매출 14.6% 껑충 - - 고용 불안하고, 미래 불확실성 불안감에 가성비 높은 제품 선택 - 소매유통업체가 독자적으로 개발·유통하는 스토어브랜드 제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프라이빗 레이블(Private Label) 혹은 자체상표로 불리는 스토어브랜드 제품은 최근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시장에서 세를 더욱 넓혀나가고 있다. 코로나19 셧다운으로 고용이 불안정해지고, 향후 경제전망에 불확실성의 그림자가 더욱 짙어지면서 소비자들이 씀씀이를 줄이고 이름이 알려진 브랜드보다 좀 더 저렴한 스토어브랜드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촉발된 경제위기로 당분간 스토어브랜드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코로나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