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팍다식 & 경제 738

한국 기업이 자주 묻는 일본 위생용품 시장 FAQ

한국 기업이 자주 묻는 일본 위생용품 시장 FAQ - 손 소독제, 마스크 19년 대비 수입량 및 단가 대폭 상승 - - 평시보다 수입 허가는 빠르지만 판매가격에 따라 유통망이 제한적 - - 온라인 판매도 마진 없이 파는 '착한 마스크'와 경쟁해야 해 - 위생용품 수입판매 상황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2020년 3월 일본으로 수입된 소독제는 3163톤으로 약 1445만 달러였다. 2019년 3월 대비 수입량은 114%, 수입액은 181% 증가한 수치이다. 국가별로 보면 수입액, 수입량에서 모두 중국이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중국의 뒤를 이어 2위를 차지했으며, 2019년 3월 대비 2467% 증가한 385만 달러가 수입됐다. 수입량을 수입액으로 나눈 평균단가는 1킬로당 10.4달러였다. 한국 제품..

브라질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관세 면제 조치 품목

브라질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관세 면제 조치 품목 - 브라질 코로나 확진자 수 세계 2위 - - 브라질 정부, 코로나 19 관련 제품 관세 및 ANVISA 한시 면제 - 5월 28일 기준 브라질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44만 3542명으로 러시아, 영국, 스페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이다. 미국 CNN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브라질은 인구 수 대비 코로나19 진단 검사 비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질은 인구 100만 명당 평균 3459건의 테스트가 실시되는 반면 러시아는 100만 명당 4만 995건, 미국은 3만 937건의 테스트가 실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확진자 순위(5월 28일 기준) 자료: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포스트 코로나, 변화하는 국내 서비스업 생태계

포스트 코로나, 변화하는 국내 서비스업 생태계 올해 1분기 국내 서비스업 생산은 코로나19 영향으로 관광, 문화, 도소매·음식숙박 등 대면 업종이 부진한 모습을 나타낸 반면 정보통신업은 호조세를 나타냈다. 코로나 이후 국내 서비스 시장의 변화 양상은 △디지털 전환 △비대면 유통서비스 확산 △홈코노미 산업 부상 등 3가지를 꼽을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원격근무, 화상회의 등의 확산 영향으로 원격 솔루션 및 디지털 서비스가 유망 업종으로 부상한 가운데 인터넷, 모바일 구매 가속화로 이커머스, 배달업이 성장할 전망이다. 또한 홈코노미가 하나의 소비 문화로 정착되면서 홈케어, 홈엔터테인먼트 사업이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서비스 기업들은 코로나 이후 변화될 사업 환경과 소비 행태에 대비해 필요한 IT 솔..

[2020 중국 양회➀] 경제분야 주요 의제

[2020 중국 양회➀] 경제분야 주요 의제 - 경제성장목표 과거와 다른 방식으로 제시 예상 - - 단발적 논의단계인 경제과제 대거 확정 - 양회(兩會)란 중국에서 매년 3월 거행되는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약칭 정협: 국가최고 정책자문기구)와 전국인민대표대회(약칭 전인대 : 국회격)를 통칭하는 용어로 중국 정부의 운영방침이 정해지는 중국 최대 정치행사이다. 당초 3월 5일 개최 예정에서 코로나19 사태로 두 달 이상 연기*된 이번 양회는 중국 경제가 개혁개방 이후 사상 최악의 성적을 보인 상황에서 개최되어 뜨거운 주목을 받고 있다. 올해 양회에서 관전 포인트와 주요 이슈에 대해 전망해본다. * 정협: 5월 21일~, 전인대: 5월 22일~ (개최 기간은 미정) 양회 경제분야 3대 관전 포인트 2020년도 ..

포스트 코로나, 동남아 시장의 유망분야는

포스트 코로나, 동남아 시장의 유망분야는 - '언택트' 확산으로 비현금거래, 홈코노미 등 비대면 상품이 새로운 뉴노멀로 부상 - - 코로나19 이후 인프라 프로젝트 투자 확대, GVC 재편과 연계한 진출도 유망 - 아세안 10개국 코로나19 확진자는 5월 12일 기준 5만9523명, 사망자 1909명이며, 호주와 뉴질랜드는 확진자 8,074명, 사망자 118명으로 타대륙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확진자가 적은 편이다. 베트남을 비롯해 대부분의 국가가 초기에 강력한 국경봉쇄 조치를 하고, 휴교령, 다중밀집시설 폐쇄, 역내 이동제한 등을 시행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많은 국가가 열악한 의료환경으로 인해 검진을 많이 하지 못해 정확한 확진자수 집계가 되지 않는다는 의견들도 있다. 어찌 됐든 코로나..

코로나19가 미얀마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가 미얀마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 미얀마 경제, 코로나19로 큰 타격 - - 코로나19로 인해 미얀마 주요산업이 받은 피해와 정부의 대응정책 - 미얀마 코로나19 현황 미얀마는 3월 23일 처음 코로나19가 확진자가 발견되었으며, 이에 미얀마 정부는 3월 말부터 여객기 운항 중단, 4월 신년 물축제 행사 취소, 자발적 자택 격리 실행, 지역별 격리, 야간통행금지 등의 조치를 하였다. 그러나 5월 들어 공장과 사무실이 업무를 재개하고 외국 거주 미얀마인이 다수 귀국하는 등 인해 사회적 거리 두기가 점점 어려워지면서 바이러스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5월 12일 기준 미얀마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81명(회복 76명, 사망 6명)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검사를 받은 사람 수가 매우 적기 ..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통상환경의 변화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통상환경의 변화 요 약 1. 코로나19 사태의 지정학적(geo-political) 영향 2. 코로나19 이후의 통상환경 변화 전망 3. 시사점 및 대응방안 코로나19, 국제공조는 왜 부진한가? 2008 글로벌 금융위기와는 다르다 2008년 금융위기가 세계경제의 호황기 중 일어난 것과는 달리, 코로나19와 그로 인한 경제위기는 미국발 보호무역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와중에 일어났다. 미중무역분쟁, WTO 상소기구 기능 마비 등 다자주의가 약화되고 있던 데다, 코로나19의 발발로 세계화(globalization)의 취약성이 드러나고 세계화의 둔화(slobalization), 탈세계화(de-globalization) 등이 화두로 떠올랐다. 코로나 19라는 전대미문의 위기 속에서 국제공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