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동산은 끝났다, 향후 10년은…" "한국 부동산은 끝났다, 향후 10년은…" 소비주체 분석 토대로 한 경제 예측의 대가 해리 덴트 경제예측 연구소인 HS덴트를 운영하는 해리 덴트(사진)는 한국의 부동산 가격이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 경제가 2022~2023년까지 부진한 양상을 이어가는데다 이후 세계.. 얄팍다식 & 경제/잡학경제 2012.07.10
중남미 경제의 향방 중남미 경제의 향방 경제 불안의 원인과 경제 버팀목 진단 목차 Ⅰ. 흔들리는 중남미 경제 Ⅱ. 중남미 경제 진단 Ⅲ. 시사점 작성 : 김화년 수석연구원(3780-8254) hnkim@seri.org 김경훈 선임연구원 정호성, 권혁재 수석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요 약 》 수출 급락, 성장률 둔화, 금융시장 불안 .. 얄팍다식 & 경제 2012.06.28
화장품: 하이테크와 감성의 접목 화장품: 하이테크와 감성의 접목 목차 1. 화장품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2. 화장품 산업의 3大변화 방향 ① 바이오기술 기반 ② 융복합 솔루션 ③ 기술/성분 마케팅 3. 시사점 작성 : 강찬구 수석연구원(3780-8224) chankoo.kang@samsung.com 삼성경제연구소 《요 약 》 사회 전반에 걸쳐 웰빙·안티에.. 얄팍다식 & 경제 2012.04.05
유통 라이벌, 파주서 아울렛 정면 승부 유통 라이벌, 파주서 아울렛 정면 승부 롯데 2일 개장 신세계는 3월 문 열어 "브랜드 차별화 돼 상호 보완 관계 될 수도" 경기 파주 출판단지 안에 롯데가 지은 국내 최대 규모의 프리미엄 아울렛이 2일 정식 개장한다. 이곳과 불과 5㎞떨어진 곳에 신세계가 이미 올 3월 신세계첼시 .. 얄팍다식 & 경제/잡학경제 2011.12.02
중국여행객 물결, 그들을 잡아라 중국여행객 물결, 그들을 잡아라 - 방한 중국인 여행객 200만 돌파 예정 – - 증가하는 관광객에 비해 낮은 관광 만족도 - 작성자 : 윤대현 ( ydh1028@kotra.or.kr ) 칭다오무역관 □ 올해 상반기 중국인 여행객의 최대 관광지는 한국 ○ 2011년 한국 방문 중국인 200만 넘을 듯 - 한국 대사관 .. 얄팍다식 & 경제 2011.11.09
일본 强中기업에서 배우는 경쟁의 기술 일본 强中기업에서 배우는 경쟁의 기술 목차 Ⅰ. 일본경제의 마지막 보루, B2B 强中기업 Ⅱ. 强中기업의 성공요인 Ⅲ. 시사점 작성 : 이병하 상무(3780-8130) bhlee@samsung.com 김원소 수석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요 약 》 장기 불황 속에서도 빛난 일본의 强中기업 1980년대 중반 이후 일.. 얄팍다식 & 경제 2011.10.31
해상풍력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 해상풍력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 목차 1. 해상풍력 시장 동향 2.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 방향 ① 소재·설계 혁신 ② 변동비 절감 기술 부상 ③ 전·후방 통합 역량 강화 3. 시사점 작성 : 조용권 수석연구원(3780-8109) cyk@seri.org 삼성경제연구소 《요 약 》 영국은 2010년 Round 3 프로젝트를 통해 9개 지역에 총 .. 얄팍다식 & 경제/신재생에너지(스타트업) 2011.10.18
올해에만 적자 600억… 영암 F1을 어떡하나 올해에만 적자 600억… 영암 F1을 어떡하나 "6년간 총 3893억 적자" - 올 940억 지출, 수익 300억뿐… 경주장은 이미 지어놓은데다 매년 개최권료 480억 내야 14~16일 전남 영암군 삼호읍 포뮬러원(F1) 경주장에서 열린 '2011 F1 코리아 그랑프리'가 600억원대 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전남도가 잠정 집계했다. 201.. 얄팍다식 & 경제 2011.10.17
중저가호텔의 성공조건 중저가호텔의 성공조건 목차 1. 격화되는 중저가호텔 경쟁 2. 국내 진출 중저가호텔 사례 3. 중저가호텔의 성공조건 작 성: 주영민 수석연구원 (ym08.joo@samsung.com) 02-3780-8269 삼성경제연구소 1. 격화되는 중저가호텔 경쟁 중저가호텔의 정의 □ 중저가호텔은 싱글룸 기준 8평 내외로 특급호텔 서비스를 배.. 얄팍다식 & 경제/잡학경제 2011.10.13
위기 이후 재조명되는 제조업 위기 이후 재조명되는 제조업 목차 Ⅰ. 제조업인가, 서비스업인가 Ⅱ. 현황과 주요 쟁점 Ⅲ. 시사점 작 성: 김용기 연구전문위원 (ykim@seri.org) 02-3780-8275 삼성경제연구소 Ⅰ. 제조업인가, 서비스업인가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논의가 확산 □ 위기 이전 수십 년간 미국 정부와 정치권.. 얄팍다식 & 경제 201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