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지금 아니면 늦어… 앞으로 20~30년 고성장 베트남, 지금 아니면 늦어… 앞으로 20~30년 고성장 무역협회 ‘메콩강 유역국 시장 진출 세미나’ 지상 중계 명확한 타깃·마케팅 포인트·믿음직한 파트너가 성공 3요소 “중동과 유럽에서 시작된 문명이 아메리카를 거쳐 중국으로 갔다. 이제 남아있는 대륙은 인도차이나반도와 아프.. 얄팍다식 & 경제 2019.08.23
냉장고·살충제 없이 농산물을 싱싱하게 냉장고·살충제 없이 농산물을 싱싱하게 어필 사이언시스, 천연 코팅으로 유통기한 2배로 늘리는 기술 개발… 식량 낭비 막아 세계의 기아 문제 해결에 도움 줄 수 있어 어필 사이언시스의 제임스 로저스 CEO는 천연 보호막을 사용해 과일의 수명을 늘리는기술을 개발했다. / 사진:ROY RITCHI.. 얄팍다식 & 경제/식품 정보(스타트업) 2019.08.22
누가 비트코인에 투자하나 누가 비트코인에 투자하나 투자자 평균 연령은 42세, 남자가 69% 차지… 관심 있어도 디지털 범죄와 규제 결여 우려하는 사람도 많아 비트코인은 시세변동이 주식시장과 별로 연관성이 없어 투자 포트폴리오 다각화 방안으로도 간주된다. / 사진:JACK GUEZ-AFP/YONHAP 비트코인과 기타 암호화폐 .. 얄팍다식 & 경제 2019.08.21
블록체인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 블록체인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 페이스북의 리브라와 관련된 논쟁은 블록체인의 내재적인 위험보다 미래 경제가 탈중앙화된 대안 받아들여 투명성·효율성 향상할지 조명해야 공공·사설 블록체인의 공존 가능성을 인정하고 상호운용성을 최대한 확장할 수 있는 세계를 건설하는 데 .. 얄팍다식 & 경제 2019.08.20
남아공 기자가 본 한국 소비재 상품의 미래는? 남아공 기자가 본 한국 소비재 상품의 미래는? - 친환경, 신소재 성분 등을 활용한 K-뷰티 상품이 인상적 - - K-뷰티 외에도 식품, 생활용품 등 한국 소비재 상품의 현지 유통망 진출을 기대 - □ 인터뷰 개요 ㅇ 유명 패션지 Cosmopolitan South Africa의 Helen Wallace 기자는 전 세계적인 K-뷰티 트렌드.. 얄팍다식 & 경제 2019.08.19
카타르 최초의 메트로 개통과 프로젝트 진행 현황 카타르 최초의 메트로 개통과 프로젝트 진행 현황 -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 대비해 편리한 교통환경 구축 시동 - - 메트로 레드라인 구간 및 경전철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 참여 - □ 도하 메트로 프로젝트 개요 ㅇ 월드컵 개최에 대비한 메트로 건설 프로젝트 추진 - QIRP(Qatar Intergrated Rail Pro.. 얄팍다식 & 경제 2019.08.16
단교사태 2년, 위기를 기회로 극복해 나가는 카타르 단교사태 2년, 위기를 기회로 극복해 나가는 카타르 - 산업구조 다각화, 수입선 다변화, 식량 자급화, 제조 국산화를 위한 범국가적 노력 경주 - - 외부충격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지속가능한 경제 체제로의 전환 추진 - □ 카타르 단교사태 개요 ㅇ 단교사태 발생 및 장기화 - 2017년 6월 5일,.. 얄팍다식 & 경제 2019.08.13
미국에 부는 Plastic-Free 열풍 미국에 부는 Plastic-Free 열풍 - Plastic-Free를 위해 노력하는 다양한 업계와 브랜드 - - 플라스틱 재활용 제품, 친환경 대체재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 - □ 글로벌 핫 키워드 ‘플라스틱’, 플라스틱 퇴출을 위한 각종 규제 ㅇ 미국 전역으로 확산되는 플라스틱 퇴출 노력 - 2014년 캘리포.. 얄팍다식 & 경제 2019.08.09
한중 무인매장 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전망 한중 무인매장 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전망 2016년 10월, 알리바바 그룹의 전임회장 마윈이 온/오프라인의 소비 경험을 결합할 수 있는 ‘신소매’ 개념을 발표하며, 중국의 무인매장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무인매장의 핵심은 빅데이터와 고객체험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으.. 얄팍다식 & 경제 2019.08.08
해운업도 디지털 파도를 타고~ 해운업도 디지털 파도를 타고~ 항만의 크레인과 트럭 자동화부터 선박 배기가스 감축과 선박 유지보수 예측까지 IT가 상거래·운영의 효율화 견인 매일 2000만 개의 컨테이너가 바다를 누빈다. 우리가 매일 소비하는 제품 중 대다수가 바다를 통해 수송될 확률이 높다. / 사진:MIKE BLAKE-REUTER.. 얄팍다식 & 경제 2019.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