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팍다식 & 경제/식품 정보(스타트업) 206

중국, 간편하고 빠른 식사 대용제품 급부상

중국, 간편하고 빠른 식사 대용제품 급부상 - 매년 두 자릿수의 성장률 유지 - - 관련 업계의 법적 규정 부재에 따른 제품의 과대홍보 문제로 이에 따른 대응책 마련 중 - ​ 식사 대용제품의 수요 증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중국의 현대인들은 규칙적인 식사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다. 불규칙한 생활패턴과 균형적이지 못한 식생활로 인해 중국인들 또한 비만, 위염, 영양 불균형 등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 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헬스장과 체육시설 이용이 제한되며 자택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 또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간편하고 영양이 풍부한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관련 시장도 빠른 성장을 거듭하..

일본, ‘대체육’ 시장이 뜬다

일본, ‘대체육’ 시장이 뜬다 한국에도 진출한 일본의 인기 햄버거 프랜차이즈 ‘모스버거’가 지난 3월 26일부터 식물성 재료만 사용해 만든 새 메뉴 ‘그린버거’를 도쿄, 오사카 등 일부 매장에 선보여 화제를 모았다. 해외 프랜차이즈 업계의 경우 고기를 먹지 않는 소비자들을 위해 대체육을 사용한 제품을 메뉴에 포함시킨 경우는 많지만 모스버거처럼 동물성 재료를 아예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대체육은 콜레스테롤, 포화지방 등이 거의 포함돼 있지 않아서 건강에 좋은데다가 지구의 환경에 끼치는 부하도 적기 때문에 ‘착한 고기’라고 할 수 있다. 모스버거는 과거에도 콩으로 만든 햄버거 패티인 ‘소이 패티’를 출시한 적이 있는데 그린버거에도 대두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을 주원료로 하는 패티가 사..

태국, 한국 드라마(K-Drama)가 한식(K-Food) 열풍의 지평을 넓히다

태국, 한국 드라마(K-Drama)가 한식(K-Food) 열풍의 지평을 넓히다 - 드라마 계기 K-Food 열풍의 시초는 ‘대장금’, 2020년 코로나 사태와 ‘이태원 클라쓰’로 열풍 확대 - - 가정식 관련 고추장, 쌈장 등 소스류와 라면, 떡볶이 등의 즉석식품 인기 - - 한식당들은 한국드라마 등장 메뉴를 마케팅 수단으로 적극 활용 - 한국 드라마, 한식 그리고 한류 2000년대 초반, 한국 드라마와 케이팝(K-Pop)이 태국 TV 스크린을 장식하기 시작하면서 한국 문화의 인기가 서양 문화와 일본 문화 수준까지 솟아오르며 시작된 ‘한류’의 열풍이 2020년이 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제는 태국 TV 방송사들의 한국 TV 프로그램 및 드라마 방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2020년 10월 현재..

‘할랄’로 수출대박… 일부 사례 불구 장벽 커

‘할랄’로 수출대박… 일부 사례 불구 장벽 커 수출기업, '18억 인구·GDP 8000조원' 이슬람 시장 공략 박차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은 글로벌 히트를 친 명실상부한 'K-푸드'라고 할 수 있다. '영국 남자'로 잘 알려진 유튜버 조쉬가 불닭볶음면의 매운맛에 도전하는 영상을 올린 것을 시작으로 '불닭볶음면 챌린지(fire noodle challenge)'는 전 세계에서 유행처럼 번져나갔다. 이에 힘입어 불닭볶음면은 2012년 출시 이후 8년 동안 무려 20억 봉지가 팔려나갔다. 그런데 중국과 함께 식품업계 최대 수출 시장 중 하나로 꼽히는 동남아 시장에서 팔리는 불닭볶음면은 다른 지역으로 수출되는 제품과 차이가 있다. 가장 큰 차이는 동물성 기름이 쓰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슬람교에서 요구하는 '할랄 ..

뉴질랜드 간편식 시장 트렌드

뉴질랜드 간편식 시장 트렌드 - 시장규모 4억6천만 달러로 꾸준한 성장 전망 - - 코로나19로 외식 줄고 집에서 식사하는 가정 늘어 - 안전하고 편하게 집에서 즐길 수 있는 근사한 간편식 코로나19는 뉴질랜드의 많은 일상을 바꿔 놓았다. 그중에서도 사회적 거리 두기는 점차 뉴노멀(New Normal)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8월 중순 두 번째 록다운을 경험한 뉴질랜드 제1의 경제도시 오클랜드는 8월 말 록다운이 해제된 이후에도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을 계속 실시하고 있어 레스토랑이나 카페에서도 테이블 간 거리 두기가 엄격하게 시행 중이다. 이러한 여파로 예전과 같이 많은 사람이 북적이는 레스토랑이나 카페는 당분간 찾아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반면에 간편하고 또 안전하게 집에서 한 끼 식사를 해결할 수 ..

‘K-Farm’으로 스마트팜 표준 만든다

‘K-Farm’으로 스마트팜 표준 만든다 온라인 컨퍼런스 개최…인공지능 결합된 3세대 모델로 진화 중동의 아랍에미리트(UAE)에서는 우리나라의 팜테크(farmtech) 기업이 운영하는 스마트팜(smart farm)이 정부 관계자들의 필수 견학코스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랍에미리트 식량안보 특임장관까지 스마트팜을 방문하여 주목을 끈 바 있다. 팜테크는 농장(farm)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서 농업과 양식업, 축산업 등에 ICT를 결합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신개념 기술을 가리킨다. 팜테크 전문 기업인 N사는 컨테이너를 활용한 모듈형 자동화 수직농장 개발 및 운영 서비스를 아랍에미리트 현지에서 제공하고 있다. 국내 기업이 아랍에미리트 현지에 마련한 스마트팜 시설 ⓒ KOTRA N사는 지난..

업계 전문가가 들려주는 코로나19 시대 美 식품시장 공략법

업계 전문가가 들려주는 코로나19 시대 美 식품시장 공략법 - 미국 식품업계 전문가가 말하는 ‘코로나19 이후 시장의 변화 및 전망’ - - 식품시장에서도 이커머스에 주목, 수출 전에는 반드시 관련 규제 꼼꼼히 챙길 것 -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가운데 특히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확진 사례와 사망자 수를 기록하며 연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는 확진자 수가 500만 명, 사망자 수가 16만 명을 넘어섰으며 그 확산세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처럼 미국인의 일상을 뒤흔든 코로나19는 미국 식품시장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미국 식품 업계 핵인싸 3인방의 온라인 강연을 통해 지금과 같은 어려운 시기에 어떤 방향으로 미국 식품시장에 문을 두드리는 것이 좋을지 그..

밀키트 동기 부여: 밀 키트를 구매하는 이유

밀키트 동기 부여: 밀 키트를 구매하는 이유 Meal Kit Motivations: The Whos and Whys Behind Meal Kit Buys Though their long-term profitability has some experts skeptical, there’s no denying that meal kits are having a moment. But who are the actual people buying these meal kits, and what do they find most enticing? Dig in for a taste of the meal kit market, including shopper demographics and psychographics, meal ki..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식음료 소비행태 변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식음료 소비행태 변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요 약] I. 연구 목적 및 배경 II. 코로나19의 주요 파급영향 Ⅲ. 글로벌 식음료 시장 진출 전략 Ⅳ. 결론 및 시사점 요 약 코로나19로 판매 채널,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 방식 등 글로벌 식음료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크게 변하고 있다. 글로벌 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의 영향은 단기적으로 크게 나타났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그 영향이 국가별로 상이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2분기 GDP가 3.2% 성장을 기록하는 등 예상보다 빠른 세계 경기 반등이 기대되고 와해되었던 물류망이 복구되고 있어, 거시경제와 조달 및 물류체계의 중장기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 건강관련 식료품의 수요 증가, ..

미국에서 김치 판매 급증

미국에서 김치 판매 급증 - 한국산 김치 미국 수출, 전년 동기 대비 61%까지 증가 - - 전 WHO 전문가, 발효 배추 섭취 권장 발표 시너지 효과 - 코로나19 확산 이후 미국의 김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의 코로나19 사망률이 타 국가에 비해 현저히 낮은 이유로 한국인들이 주식으로 먹는 ‘김치’ 섭취가 화두가 되면서다. 한국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최근 집계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미국으로의 김치 수출액 누계는 113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1.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 세계 김치 수출액 누계는 7470만 달러,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44.3%였다. 또한 뉴욕포스트 4월 14일 자 보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기업 블룸리치(Bloomreach)가 전자상거래 데이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