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ng South Koreans Don’t Trust a State That Betrays Them
한국의 젊은이들은 그들을 배반하는 국가를 믿지 않는다.
The Itaewon crowd crush confirmed a growing distrust of national stories.
이태원의 군중 압사는 국가적인 이야기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시켜주었다.
By Aram Hur, an assistant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nd public policy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
미주리 대학교 정치학과 공공정책 조교수 허 아람.
시위대가 11월 5일 한국 서울 시청 근처에서 열린 이태원 할로윈 참사 희생자 추모 행사에서 윤석열 한국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팻말을 들고 있다.
NOVEMBER 17, 2022, 3:27 PM
Halloween only arrived in South Korea in the 2000s. But the celebration, embraced by many young South Koreans, will now never be the same. On the night of Oct. 29, excitement quickly turned deadly as a crowd crush in a packed alleyway in Itaewon claimed the lives of 158 people, most of them young women.
할로윈은 2000년대에야 한국에 도착했다. 그러나 많은 한국 젊은이들이 받아들인 이 기념행사는 이제 결코 예전 같지 않을 것이다. 10월 29일 밤, 이태원의 꽉 찬 골목길에서 군중들이 몰려들어 158명의 목숨을 앗아갔는데, 그들 중 대부분이 젊은 여성들이었다.
The disaster is a scarring national tragedy for South Korea. But it is also a reckoning for South Korea’s democracy. Consumed with partisan politicking and scapegoat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losing sight of the real risk: a severed connection with the nation’s youth. Weakened ties to the most important constituency for South Korea’s future is not only a political loss for both parties, but a civic loss for its democracy—one that could destabilize the country and threaten its standing as a leading regional democracy.
이 참사는 한국에 있어서 국가적 비극이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한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계산이기도 하다. 한국 정부는 당파적인 정치 공세와 희생양으로 사로잡혀 젊은이들과의 단절된 관계라는 진짜 위험을 간과하고 있다. 한국의 미래를 위해 가장 중요한 선거구와의 관계가 약화되는 것은 양당 모두에게 정치적 손실일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에 대한 시민적 손실이다. 이는 한국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지역 민주주의의 주도적 지위를 위협할 수 있다.
Unfortunately, this is a familiar story for many South Korean youth. The failure to take responsibility echoes the state’s slow response and efforts to dodge blame in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when a sinking ferry claimed more than 300 lives, most of them high school students on a field trip. That generation, now eight years older and in their early 20s, are again the primary victims of the Itaewon tragedy. More than 100 of the 158 victims so far were in their 20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안타깝게도, 이것은 많은 한국 젊은이들에게 친숙한 이야기이다. 책임지지 않은 것은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대부분이 수학여행 중인 고등학생들로 30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국가의 늑장 대응과 책임 회피 노력이 반영된 것이다. 이제 8살이 더 많고 20대 초반인 이 세대는 다시 이태원 비극의 주요한 희생자들이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158명의 희생자 중 100명 이상이 20대였다.
The state recently announced that it would use the term “accident,” rather than “disaster,” to avoid tarnishing Itaewon’s reputation as a popular tourist spot. The growing public anger over this decision, especially among young people, relates back to the fact that very little about the Itaewon tragedy feels accidental.
서울시는 최근 인기 있는 관광지로서의 이태원의 명성을 더럽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재난"이 아닌 "사고"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서 이 결정에 대한 대중의 분노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이태원의 비극에 대해 우발적으로 느끼는 것이 거의 없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Investigations are still underway, but public reports show that multiple calls to the police asking for help with crowd management went largely unaddressed. Police were understaffed that night, as many had been posted to manage anti-government protests around the city. None of this explains why there was no pre-planning for one of the largest youth celebrations of the year, especially in a country that usually has crowd management down to a science.
아직 수사가 진행 중이지만, 공개적인 보도에 따르면 군중 관리에 도움을 요청하는 경찰에 대한 여러 차례의 전화는 대부분 처리되지 않았다. 경찰은 그날 밤 도시 주변의 반정부 시위를 관리하기 위해 배치되었기 때문에 인원이 부족했다. 이것 중 어느 것도 올해의 가장 큰 청소년 축제 중 하나에 대한 사전 계획이 없었던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 특히 보통 과학에 이르기까지 군중 관리를 하는 나라에서 그렇다.
State negligence has been followed by state evasion. President Yoon Suk-yeol declared a week of national mourning as a symbolic gesture but was evasive about the state taking any responsibility. Government agencies with security oversight of Itaewon—the Seoul municipal government,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the national police—each offered reasons for why they couldn’t be blamed. Seoul’s mayor and the Interior minister have since formally apologized to the families of the victims, but only after public outrage.
국가의 태만이 국가 회피로 이어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상징적인 제스처로 1주일간의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했지만 국가가 책임을 지는 것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태원의 치안을 감독하는 정부 기관인 서울시, 행안부, 경찰은 각각 비난할 수 없는 이유를 제시했다. 서울 시장과 내무부 장관은 그 이후로 희생자들의 가족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했지만, 대중의 분노가 있은 후에야 사과했다.
Such events are critical junctures in a nation’s lived experience. Whether the state stood with the people or betrayed them in moments of despair is seared into a national people’s memory through what I call national stories in my book, Narratives of Civic Duty: How National Stories Shape Democracy in Asia. I have been researching how national stories work for the past decade. Unlike constitutive myths of the nation, which tend to be origin stories about who we are, national stories are parable-like folklore of the national people that define how we ought to live. They recount relationship lessons learned from a nation’s past to teach national members who to trust and be wary of and to whom they owe their loyalty.
그러한 사건들은 한 국가의 생생한 경험에서 중요한 분기점이다. 국가가 절망의 순간에 국민들과 함께 서있었는지, 아니면 국민들을 배신했는지는 저의 저서인 책 "시민의 의무 서사:"에서 말하는 국가적 이야기를 통해 국민들의 기억 속에 새겨진다. 국가적인 이야기들이 아시아의 민주주의를 어떻게 형성하는가 나는 지난 10년 동안 국가적인 이야기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연구해왔다.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기원 이야기인 경향이 있는 국가의 구성 신화와 달리, 국가 이야기는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정의하는 민족의 비유 같은 민속이다. 그들은 한 국가의 과거로부터 배운 관계의 교훈을 이야기하며, 그들이 누구를 신뢰하고 누구를 경계해야 하며 누구에게 충성을 해야 하는지를 가르친다.
The state is a major protagonist in national stories. Depending on whether national stories paint the state as a friend or foe of the national people, the state can become an object of civic duty or moral opposition.
국가는 국가 이야기의 주요 주인공이다. 국가 이야기가 국가를 민족의 친구로 그리느냐 적으로 그리느냐에 따라 국가는 시민의 의무나 도덕적 반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South Korea’s ethnic nationalism, based on the idea that all Koreans belong to a unified bloodline, went a long way toward sustaining national stories that framed the nation and state as one. Even through state failures, notably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collapse in 1995 and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 South Korea’s young democracy benefited from resilient civic duty in the name of the nation. National stories of state betrayal percolated in certain circles. But they were overshadowed by the metanarratives of past national triumphs, from the miraculous development of the 1980s to people-led democratization in 1987.
모든 한국인들이 통일된 혈통에 속한다는 생각에 기초한 한국의 민족주의는 국가와 국가를 하나로 묶는 민족적 이야기를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와 같은 국가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젊은 민주주의는 국가의 이름으로 탄력적인 시민의 의무로부터 이익을 얻었다. 국가 배신에 대한 전국적인 이야기들이 특정 집단에 스며들었다. 그러나 그들은 1980년대의 기적적인 발전에서부터 1987년의 사람들이 주도하는 민주화에 이르기까지 과거 국가적 승리의 메타 서사에 가려졌다.
For the young in South Korea, however, those metanarratives that appealed to their parents or grandparents have lost their luster. They are taking a clear-eyed look at the nation’s future and finding it bleak. The youth unemployment rate has hovered just below 10 percent for the past decade. Korean women are now more likely to remain childless than have at least one child in their lifetime—primarily the result of soaring childcare and housing costs. The severe fertility decline has saddled a shrinking youth generation with the burden of providing for an oversized elderly population.
그러나 한국의 젊은이들에게는 부모나 조부모에게 호소하는 메타 서사가 빛을 잃었다. 그들은 한국의 미래를 똑똑히 보고 있으며 암울함을 발견하고 있다. 청년 실업률은 지난 10년 동안 10% 미만을 맴돌았다. 한국 여성들은 이제 평생 적어도 한 명의 아이를 낳는 것보다 아이를 낳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다 – 주로 치솟는 육아와 주거비의 결과이다. 심각한 출산율 감소는 줄어드는 청년 세대에게 과도한 노인 인구를 부양해야 하는 부담을 안겼다.
For many young people, the “Korean Dream” of their parents’ generation—of a war-torn nation rising from the ashes—is a relic of the past. In its place, they find “Hell Chosun,” a historical reference to the last days of the Chosun dynasty, where elite in-fighting and subsequent weakening of the monarchical state led to the suffering of the peasantry.
많은 젊은이들에게 전쟁으로 폐허가 된 나라가 잿더미에서 솟아오르는 부모 세대의 '코리안 드림'은 과거의 유물이다. 그 자리에서 그들은 엘리트 내전과 이에 따른 군주제 약화가 농민들의 고통으로 이어진 조선 왕조 말기에 대한 역사적 언급인 "헬 조선"을 발견한다.
Today, as partisan elites are preoccupied with beating the other side, youth welfare is losing out. Students who suffered to make their way through South Korea’s notoriously cutthroat education system graduate only to find that there are not enough jobs. Many young women who invested in careers and embraced cosmopolitan values with South Korea’s globalization find themselves unsupported in the workplace, especially if they try to have families.
오늘날 당파 엘리트들이 상대편을 이기는 데만 몰두하면서 청년 복지는 도태되고 있다. 한국의 잔인하기로 악명 높은 교육 제도를 통과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학생들은 졸업을 하지만 일자리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직업에 투자하고 한국의 세계화와 함께 국제적인 가치를 수용한 많은 젊은 여성들은 특히 그들이 가족을 가지려고 할 때 직장에서 자신들이 지지받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Both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factions in South Korea have fiercely appealed to young voters during election time. But once elected, leaders from both sides have cooled on the unemployment reduction or egalitarian platforms they promised, instead becoming embroiled in the nationalist issues that define the partisan squabbling of the older generation, such as conflicts with North Korea or Japan.
한국의 진보와 보수 모두 선거 기간 동안 젊은 유권자들에게 격렬하게 호소해왔다. 그러나 일단 당선되면 양측 지도자들은 그들이 약속한 실업률 감소나 평등주의 강령에 식어버렸고 대신 북한이나 일본과의 갈등과 같은 기성세대의 당파적 다툼을 규정하는 민족주의적 문제에 휘말리게 된다.
For many South Korean youth, repeated experiences of state trauma or neglect have hardened the belief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ares more about partisan victories than the nation’s future, seeding oppositional national stories. The stories of Sewol and the state corruption it uncovered, the challenges of unemployment and soaring prices, and now Itaewon paint the democratic state not as a champion but as a betrayer of the nation’s youth.
많은 한국 젊은이들에게, 반복적인 국가적 트라우마나 방치의 경험은 한국 정부가 국가의 미래보다 당파적 승리에 더 관심을 갖고 있다는 믿음을 굳혀, 반대되는 국가적 이야기를 낳았다. 세월호와 그것이 들킨 국정농단의 이야기, 실업과 치솟는 물가의 도전, 그리고 지금 이태원은 민주주의 국가를 챔피언이 아니라 국가 청년들의 배신자로 그리고 있다.
Civic duty that is subverted through oppositional national stories is dangerously destabilizing to a democracy. When national stories frame the democratic state as a threat to the nation’s best interests, they instill in national members a moral mandate to resist or reject that state, even if it means violating democratic norms. To see how subverted civic duty manifests, look no further than the participants in the Jan. 6, 2021, attack on Capitol Hill, who claim to have done so to “save America.” The demographic, largely middle-aged and older, that has lost civic connection in the U.S. is different from that in South Korea. But both groups share the belief that the democratic state no longer cares about the best interests of the common people in the nation.
반대하는 국가적 이야기를 통해 전복되는 시민의 의무는 민주주의를 위태롭게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다. 국가적인 이야기들이 민주주의 국가를 국가의 최선의 이익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할 때, 그것들은 비록 그것이 민주주의 규범을 위반하는 것을 의미하더라도 그 국가에 저항하거나 거부할 도덕적인 권한을 국가 구성원들에게 심어준다. 시민의 의무가 어떻게 전복되는지 보기 위해 2021년 1월 6일의 참가자들보다 더 멀리 보지 않고 "미국을 구하기 위해" 그렇게 했다고 주장하는 국회의사당을 공격한다. 미국에서 시민적 연결을 잃은 중장년층 인구는 한국과 다르다. 그러나 두 단체는 민주주의 국가가 더 이상 국가의 서민들의 최선의 이익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믿음을 공유하고 있다.
Youth who have lost a deeper identity connection to their democracy are also worrisome because they tend to seek a sense of political belonging elsewhere. They may turn away from traditional forms of political engagement entirely. They are also vulnerable to aspiring demagogues who promise to champion their interests against “the establishment,” which is the most common form of contemporary democratic backsliding.
민주주의에 대한 더 깊은 정체성 연결을 상실한 청소년은 다른 곳에서 정치적 소속감을 찾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걱정스럽다. 그들은 전통적인 형태의 정치 참여를 완전히 외면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현대 민주주의 퇴보의 가장 흔한 형태인 "기득권층"에 맞서 자신의 이익을 옹호하겠다고 약속하는 야심 찬 선동가들에게 취약하다.
South Korea cannot afford to lose the civic loyalty of its youngest citizens. The sociodemographic challenges that lie ahead depend on them. They will bear the brunt of the welfare burden created by declining fertility, the integration challenges from migration, the costs of potential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and the responsibility of defending democracy against the authoritarian resurgence in Asia. They are, quite literally, the democracy’s future.
한국은 젊은 시민들의 시민의식을 잃어서는 안 된다. 앞에 놓여 있는 사회인구학적 문제는 그들에게 달려 있다. 그들은 출산율 감소로 인한 복지 부담, 이주로 인한 통합 문제, 북한과의 잠재적인 통일 비용, 아시아의 권위주의 부활에 맞서 민주주의를 수호해야 할 책임을 짊어지게 될 것이다. 그들은 말 그대로 민주주의의 미래이다.
How should state leaders respond to the Itaewon tragedy if it wants to repair connections with the nation’s youth? The answer is simple: as if the victims were their own children. For a bereaved parent, excuses for why their child died do not bring them back. Instead, swift and sincere acceptance of responsibility, maximal support for funeral arrangements, and clear policy and personnel reforms for prevention, with input from victim families, can offer solace.
이태원이 젊은이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기를 원한다면, 국가 지도자들은 이태원 비극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답은 간단하다: 마치 희생자들이 그들의 아이들인 것처럼. 유족에게 자식이 왜 죽었는지에 대한 변명은 그들을 되살리지 못한다. 대신 신속하고 성실한 책임 수용, 장례 준비에 대한 최대한의 지원, 피해자 가족의 의견을 수렴한 명확한 예방 정책 및 인적 쇄신이 위안을 줄 수 있다.
When the state sees itself as a bereaved parent, any insinuation of victim blaming—that the tragedy was somehow driven by party culture or individualistic tendencies of youth—is nonsensical. Any efforts to exploit the national tragedy for partisan gain—whether by the incumbent party to deflect blame or the opposition to weaponize against the incumbent—are equally condemnable. The incumbent government can set strong precedent against such politicization and delegitimize partisan tactics from the opposition by first firmly monitoring the rhetoric and behavior of its own party leadership. If the deaths of more than 150 young women and men are not enough of a wakeup call to the polarized partisan politics of South Korea, perhaps the risk of a destabilizing democracy is.
국가가 자신을 유가족으로 생각할 때, 비극이 어떻게든 정당 문화나 청소년의 개인주의적 경향에 의해 주도되었다는 피해자 비난의 암시는 터무니없다. 당파적 이익을 위해 국가적 비극을 이용하려는 모든 노력(비난을 회피하기 위한 현직 정당이든 현직 정당에 대해 무기화 하려는 야당에 의한 것이든)은 똑같이 비난받을 수 있다. 현 정부는 그런 정치화에 강력한 선례를 남기고 야권의 당파적 전술을 불법화할 수 있다. 150명 이상의 젊은 여성과 남성의 죽음이 남한의 양극화된 당파 정치에 경종을 울리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아마도 민주주의를 불안정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
It was always the idea of family—of nation and state as one—that fueled South Korea’s once-strong national stories. The Itaewon tragedy is an opportunity for the state to reclaim that narrative by bringing the nation’s youth back into the fold. South Korea’s reckoning should also serve as an example to other democracies, such as Ukraine, that are dealing with their own cataclysmic national crises. With the right kind of state response, national tragedies can be powerful opportunities for healing and restoring a democracy’s resilience rather than a path toward democratic breakdown.
한때 강했던 한국의 국가적 이야기에 연료를 공급한 것은 항상 가족, 즉 국가와 국가가 하나라는 생각이었다. 이태원 비극은 국가가 국가의 젊은이들을 우리 안으로 다시 데려옴으로써 그 서사를 되찾을 수 있는 기회이다. 한국의 계산은 또한 우크라이나와 같이 격변적인 국가적 위기에 대처하고 있는 다른 민주주의 국가에 모범이 되어야 한다. 올바른 종류의 국가 대응을 통해 국가적 비극은 민주적 붕괴로 가는 길이 아니라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치유하고 회복할 수 있는 강력한 기회가 될 수 있다.
Foreign Policy Magazine
《포린 폴리시》는 격월로 발행되는 미국의 간행물이며 1970년 새뮤얼 헌팅턴과 워렌 데미안 만셸에 의해 창간됐다. 포린 폴리시는, 포린 어페어스와 함께 국제 문제 전문지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고 있다
'쌉소리 블루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념과 강한 의지: 트랜드에 부합하는 성공 비결" (0) | 2023.09.04 |
---|---|
사람이 멀리 내다보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데서 근심거리가 생긴다. (0) | 2023.08.31 |
브라질 선거: 과학자들이 룰라에게 보우소나루를 이긴 것을 응원한다. (0) | 2022.11.11 |
워런 버핏이 보내는 무언의 경고 (0) | 2019.08.27 |
日수출규제(기해왜란)사태에 대한 국민 강령 (0) | 2019.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