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팍다식 & 경제

이란 여성, 소득의 1/3을 화장품에...

AI독립군 2019. 1. 4. 10:36

이란 여성, 소득의 1/3을 화장품에

- 이란은 중동 제 2의 화장품 시장, 2017년 기준 35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5%대 성장 지속 -

- 이란 여성은 15세부터 화장, 소득대비 화장품 소비 비율은 중동 1위 헤비 컨슈머 -

 


 

 

□ 시장규모 및 동향

 

   이란은 중동 제 2의 화장품 시장으로, 2017년 기준 35억 달러 규모 기록

    - 세계 시장 내 순위는 27, 비중은 0.8%

 

  2015년 이란 경제제재 해제 후 최근 3년간 연평균 5%대 성장 지속

    - 또한, 2015년까지 지속된 경제제재와 물가 상승에도 이란의 화장품 시장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 일반 소비재 시장과는 차별화 양상

    - 2015년 갤럽리서치 조사 결과, 이란 여성은 화장품에 한해서는 소득의 30%까지도 사용할 의향이 있음

    - 이는 이란 여성은 히잡 착용이 의무로, 화장품을 유일한 개성표현 수단으로 활용하는데 기인

 

이란 화장품 시장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시장규모

3,721

3,432

2,960

3,187

3,292

3,505

증가율

13.9

-7.8

-13.7

7.6

3.3

6.5

세계 시장 내

비중

0.8(26)

0.7(28)

0.6(29)

0.7(27)

0.7(26)

0.8(27)

: ( )는 세계 화장품 시장 내 순위

자료원 : Euromonitor

  

□ 수입 규모 및 동향

 

   이란 관세청에 따르면 2017년 기준 2.5억 달러 규모의 화장품을 수입

     - 이란 화장품 수입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24.8% 성장

 

   주요 수입국

     - 이란의 화장품 수입액은 재수출 국가인 UAE를 제외하면 프랑스가 가장 많고, 터키, 독일, 이탈리아 순

     - 한국은 최근 5년간 연평균 35.3% 성장, 2017년 기준 477만 달러 수입액을 기록, 7위를 차지했으며 수입 상위 10개국 중 유일한 아시아 국가

     - 이란은 최근 한류 영향으로 기능성 스킨케어, 파우더 등 기초 화장품,색조 화장품을 중심으로 한국 화장품에 대한 수요 증가 추세

  

이란 화장품 수입 상위 10개국 현황

(단위 : 만 달러, %)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CAGR

전 세계

10,331

14,397

15,888

19,005

25,032

24.8

UAE

1,789(2)

5,168(1)

6,210(1)

6,821(1)

7,573(1)

43.4

프랑스

1,527(3)

2,455(3)

2,910(3)

3,478(2)

5,858(2)

39.9

터키

3,085(1)

3,547(2)

3,218(2)

3,288(3)

3,171(3)

0.7

독일

1,133(4)

644(5)

882(5)

1,565(4)

2,438(4)

21.1

이탈리아

764(5)

676(4)

1,288(4)

1,318(5)

1,773(5)

23.4

벨기에

73(11)

0(41)

3(27)

247(9)

744(6)

78.6

한국

142(7)

123(10)

189(7)

426(6)

477(7)

35.3

스페인

378(6)

152(8)

255(6)

356(7)

461(8)

5.1

폴란드

79(10)

4(31)

44(14)

190(10)

354(9)

45.4

스위스

84(9)

138(9)

161(8)

157(11)

245(10)

30.9

: ( )는 이란 화장품 수입 시장 내 순위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이란 관세청

 

□ 경쟁동향

  

   제품 및 기업 경쟁 동향

     - 이란 현지 컨설팅사인 Aryan Experts에 따르면, 이란 현지 생산 화장품은 전체의 20%를 점유하고 있으나, 헤어케어, 샤워제품 등

 위생용품과 일반 스킨케어 제품에 국한되어 있음 .

     - 2015년부터 Lancome 등 유럽 화장품기업이 이란 시장에 재진입해 색조화장품, 기능성 스킨케어, 향수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

     - 한국 화장품기업 역시 ’15년부터 수출을 위한 인증절차 진행 및 합작투자 등 본격적인 진출을 모색해 왔으며, 유럽제품보다 인지도는

낮으나 저렴한 가격과 고품질로 승부하며 점유 확대 중

  

□ 이란 내 한국산 화장품의 위치

 

   우리 제품 진출 현황

     - 이란 FDA의 최신자료인 ’16년 기준 수입이 승인된 한국 화장품은 10개 기업 13개 브랜드로 진출 규모는 크지 않음.

     - 이란의 한국 화장품 수입규모는 ’17 477만 달러로 7위를 기록했으나 1.9% 비중으로 미미한 수준

     -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이란 시장 진출이 본격화된 기간은 3년 미만으로 대다수 이란 소비자는 한국제품 사용 경험이 없음.  

     - , 천연소재 기능성 스킨케어, 기초화장품과 아이 메이크업 등 전통적으로 유럽과 북미 제품이 강세인 분야에서 최근 5년간 연평균

 35.3% 성장을 주도하면서 높은 잠재력을 나타냄.

  

   한국산 화장품 수입 요인 

     - 자동차와 IT기기로 대표되는 한국의 국가 브랜드 인지도와 한국 드라마를 통한 한류 스타 후광효과 존재

     - 특히, 유투브 메이크업 인플루언서의 영상을 통해 한국 여성의 피부와 화장법에 대해 높게 평가

     - 이란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은 다소 생소하나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스킨케어를 중심으로 고품질 제품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유럽산과 중국산 및 인도산의 중간 가격대 포지셔닝 정책 유효

  

□ 유통 현황

 

   유통구조

     - 주로 수입상, 도매업자, 소매업자로 이어지는 유통구조이며, 소수 도매상이 공급을 주도

     - 온라인유통망을 통하면 소매업자를 통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공급

 

이란 화장품 유통 구조

수입상

도매업자

소매업자

소비자

 

 

 

 

 

 

 

수입상

온라인유통망

소비자

 

 

 

  유통채널별 판매현황

     - (유통채널별 시장점유율)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화장품 유통 비중은 96.9%, 온라인 유통 비중은 3.1%로 아직

온라인 유통망 인프라는 미미한 수준

     - 세부적으로는 잡화점, 슈퍼마켓 등 식품점 유통비율이 54.8%로 높으며, 약국, 화장품전문점 등 전문점이 42.1%를 차지

 

□ 화장품 수입규제 및 인증

 

사전등록

    - 이란은 화장품 수입 시 할랄 인증 및 사전등록이 필수

    - 이와 함께 적합성 인증(COC) GMP를 제시해야 함

    - 주재국 화장품 사전등록 및 할랄 인증 대상 세부품목은 www.fda.gov.ir/item/1587 참조 

   

 ㅇ 할랄 인증 

    - 한국할랄협회는 제품, 제품의 성분, 공장, 부서 검사 및 보고서 발행을 위해 신청업체의 모든 부분을 검사

    - 신청업체 관련 검사 이후 이란 할랄 인증담당 부서에 관련 보고서 송부

    - 보고서에 문제가 없을 시, 할랄 제품 인증서 발급 및 해당 업체에 송부

    - 할랄 인증 발급비는 한국사무소에 지불해야 함($3,500~$8,000, 제품에 따라 상이)

 

 SWOT 분석

 

Strengths

Opportunities

유럽화장품 대비 저렴한 가격과 높은 품질

천연소재 활용 고기능성 스킨케어 제조

저가에서 프리미엄까지 제품군 다양

이란의 한류 영향으로 한국산 인지도 상승

물가 상승으로 고가 유럽산 대체품 필요

젊은 층 중심 기능성 스킨케어 수요 증가

Weaknesses

Threats

한국화장품 인지도 부족

현지 수요에 대한 이해 부족

유통망 확보의 어려움

입지확보 및 전략 미흡

미국의 이란 경제제재 재개

모조품, 저가품 범람

완제품에 대한 높은 관세

복잡한 규제(등록, 인증) 절차

  

  바이어 인터뷰

 

 

ㅇ 이란 소매 유통업체 Meisam Atr의 구매담당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은 가격이 저렴한 제품보다 고품질 제품이 더 큰 호응을 얻음.

  ㅇ 이란인들은 드라마 대장금 시절부터 한국 드라마를 즐겨보고 있으며, 한국 여배우의 피부를 극찬함과 동시에 부러워 함.

  ㅇ 크림, 파운데이션, 마스크 등 한국의 특징적인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스킨케어 제품으로 진출하는 게 유리

  ㅇ 이란 여성은 흰 피부를 선호하여 기초화장을 두껍게 하므로, UV 화이트닝 기능 화장품도 인기가 높음.

 

   시사점 및 전망

 

   ㅇ 한국산 화장품은 유럽 제품에 비해 시장 점유율은 미미하나 연 30%대 성장을 지속하며 인지도를 높이고 있음

   ㅇ 화장품은 제재 기간에도 크게 수요 변화가 없는 품목으로 이란에서 상대적으로 예측 가능한 시장으로 평가됨.

   ㅇ 화장품은 이란 제재 품목이 아니나, 이란의 특성상 사전 등록 및 할랄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해 초기진입이 쉽지 않음.

     - 세부 품목별로 규제 여부가 달라, 현지 에이전트 활용은 필수

 

 

자료원 :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현지 바이어 인터뷰, KOTRA 테헤란무역관 자료 종합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