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팍다식 & 경제

최대 300채까지! … 원룸단지 주거여건·사업성 좋아진다

AI독립군 2010. 3. 31. 18:49

      최대 300채까지! … 원룸단지 주거여건·사업성 좋아진다

 

 

 

 

원룸 등 도시형 생활주택의 단지 규모를 기존 150채에서 300채로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방안이 확정되면 단지 내 조경 · 편의시설 확대로 주거여건이 개선되고 대형 건설사들의 사업 참여도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9
일 국토해양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도심 역세권과 주거지역에 들어서는 1~2인용 주거시설인 도시형 생활주택(원룸주택)의 단지 규모를 현행 '20채 이상 150채 미만'에서 2배 정도 늘어난 '20채 이상 300채 미만'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형필지 단위로만 개발토록 돼 있어 난개발과 슬럼화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최근 국토부에 블록별로도 개발이 가능하도록 최대 단지 규정을 바꿔 줄 것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원룸형과 기숙사형으로 나뉘는 도시형 생활주택은 현재 '세대당 전용면적이 85㎡ 이하,최소 20채에서 최대 150채 미만'까지 짓게 돼 있다. 이 때문에 땅이 넓어 150채 이상을 지을 수 있어도 대지를 쪼개거나 주택 형태를 바꿔야 건립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대지와 대지 간 쓸모 없는 공지가 생겨 낭비 요인이 발생한다는 게 업계 주장이다.


실제로 최근 안산시 원곡동 2670(807)의 땅에 200여채의 도시형 생활주택을 지으려던 A씨는 당초 계획과 달리 107채로 줄이고 대신 아파트 64(20평형대)를 추가하는 형태로 설계를 마쳤다. '150채 미만 규정'에 묶였기 때문이다.


주택건설협회 관계자는 "단지 규모가 확대되면 아기자기한 조경공간과 운동시설 · 세미나룸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설치할 수 있어 도심 난개발과 거주환경 악화에 대한 우려를 상당히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주 공동 개발 때 용적률 인센티브 등이 주어진다면 소형주택 공급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서용식 수목건축 대표는 "단지가 커지면 중 · 소형 건설사 중심의 소형주택시장에도 대형 업체들의 참여가 늘어나고,아울러 일본 등 선진국들처럼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소형주택 임대관리업계'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소형주택 임대관리는 현재 대부분 집주인과 중개업소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입주자 · 시설 관리,세입자 안전문제 등에 허점이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기업 참여와 주거환경 개선,공급확대 등 효과가 있어 신중한 검토를 거쳐 내달 중 결론을 낼 것"이라며 "국회가 주택법을 개정할 사안이어서 실제 시행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박영신 기자 yspark@hankyung.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