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과 VC투자매칭

스타트업이 꼭 알아야 할 '운영모델 혁신'

AI독립군 2025. 9. 2. 08:23

스타트업이 꼭 알아야 할 '운영모델 혁신'

-전략에서(1% 전략, 99% 실행)실행까지의 완벽한 로드맵-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뛰어난 전략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왜 시장에서 실패하는가? 맥킨지의 최신 연구는 이 오랜 의문에 명확한 답을 제시한다. 문제는 전략이 아니라 '운영모델'에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고성과 기업들조차 전략의 잠재력과 실제 성과 사이에 30%의 간극이 존재한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전통적 사고에서 벗어나야 할 때

많은 창업자들이 조직 구조만 바꾸면 성과가 개선될 것이라는 착각에 빠져있다. 하지만 이는 20세기 산업화 시대의 낡은 사고방식이다. 지금은 지정학적 변동성, 급속한 기술 발전, 사회적 패러다임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초불확실성의 시대다.

 

전통적인 위계 구조(89%)를 고집하는 기업들과 달리, 애자일 조직구조나 분산 네트워크 같은 신흥 모델을 채택한 기업들은 AI 확산과 디지털화에 훨씬 잘 준비되어 있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12개 요소의 통합적 시스템 사고

30년간의 경영컨설팅 경험을 통해 볼 때, 성공하는 스타트업들의 공통점은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나 뛰어난 기술력이 아니다. 바로 명확성(Clarity), 속도(Speed), 역량(Skills), 몰입(Commitment)이라는 4가지 핵심 성과를 창출하는 통합적 운영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이다.

 

맥킨지가 제시한 새로운 'Organize to Value' 시스템은 기존의 7S 프레임워크를 12개 요소로 진화시켰다:

- 전략적 방향성: 목적(Purpose), 가치 의제(Value Agenda)

- 조직 설계: 구조(Structure), 생태계(Ecosystem)

- 운영 체계: 리더십(Leadership), 거버넌스(Governance), 프로세스(Processes), 기술(Technology)

- 문화와 인재: 행동양식(Behaviors), 보상(Rewards), 인력 배치(Footprint), 인재(Talent)

 

실전 적용을 위한 스타트업 관점의 해석

 

1. 목적 중심의 조직 운영

스타트업에게 '목적'은 단순한 미션 스테이트먼트가 아니다. 불확실한 환경에서 팀원들이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나침반 역할을 한다. 특히 원격근무나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일하는 MZ세대 인재들에게는 경제적 보상보다 목적의식이 더 중요한 동기부여 요소로 작용한다.

 

2. 애자일한 가치창출 시스템

전통적인 연간 예산 수립과 달리, 성공하는 스타트업들은 분기별 성과 기반 거버넌스를 통해 빠르게 방향 전환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이는 단순한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도입을 넘어서, 의사결정권한의 분권화와 실시간 성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의미한다.

 

3. AI 시대를 대비한 기술 인프라

많은 스타트업들이 AI를 도입했다고 자랑하지만, 실제로는 표면적인 자동화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진정한 AI 활용은 인간의 창의성을 증폭시키는 '코파일럿'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API 연동, 그리고 무엇보다 AI와 협업하는 조직문화가 필요하다.

 

4. 글로벌 통합 인재 전략

코로나19 이후 급속히 확산된 원격근무는 스타트업에게 글로벌 인재 확보의 기회를 제공했다. 하지만 단순히 비용 절감을 위한 아웃소싱이 아니라, 각 지역의 고유한 역량과 시장 인사이트를 활용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성공 사례로 본 실전 교훈

연구에서 제시된 항공사 사례는 스타트업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이 회사는 '탁월한 승객 경험' '업계 최고 효율성'이라는 명확한 비즈니스 목표를 설정하고, 12개 요소를 일관되게 정렬시켰다. 그 결과 정시 운항률, EBITDA 마진, 고객 만족도 모든 면에서 동종업계를 능가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스타트업도 마찬가지로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어떻게 가치를 창출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답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조직 요소가 일관되게 정렬되어야 한다.

 

변화 관리의 실무적 접근법

운영모델 혁신은 단순한 구조 개편이 아니라 조직 DNA의 근본적 변화다. 특히 스타트업처럼 자원이 제한적인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적 접근이 효과적이다:

  1. 현재 운영모델의 정확한 진단: 12개 요소별로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
  2. 벤치마킹을 통한 목표 설정: 성공한 유사업계 스타트업들의 운영모델 분석
  3. 점진적 개선 vs 전면적 혁신의 선택: 자원과 역량을 고려한 현실적 판단
  4. 구체적 성과지표와 실행 로드맵 수립: 측정 가능한 목표와 책임 체계 구축
  5. 지속적 모니터링과 적응: 시장 변화에 따른 유연한 조정

 

미래를 준비하는 스타트업의 자세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스타트업의 생존과 성장은 얼마나 빠르게 학습하고 적응하느냐에 달려있다. 전략적 사고와 운영적 실행력을 동시에 갖춘 조직만이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MZ세대가 주도하는 스타트업 생태계에서는 위계적 명령보다는 목적 중심의 자율적 실행력이, 개인적 성과보다는 팀 단위의 집단지성이, 단기적 성과보다는 장기적 가치창출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결국 성공하는 스타트업과 실패하는 스타트업의 차이는 아이디어의 참신함이 아니라 그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는 조직 시스템의 완성도에 있다. 맥킨지의 연구가 보여주듯이, 훌륭한 운영모델은 고객 만족도 10-30% 향상, 의사결정 속도 5-10배 개선, 직원 몰입도 10-30%p 증가라는 구체적 성과로 이어진다.

 

지금이야말로 창업자들이 '무엇을 할 것인가'에서 '어떻게 할 것인가'로 관심을 전환해야 할 때다. 변화의 속도가 학습의 속도를 넘어서는 순간, 그 스타트업은 도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