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자가 산 자를 부른다: 5·18의 빛, 오늘을 깨우다
45년 전, 전두환 신군부의 반란과 내란은 민주주의의 심장을 겨눴다. 1980년 5월, 광주 시민들은 헌정 파괴와 민주화 역행에 맞서 총칼 앞에 나섰고, 수많은 무고한 이들이 피 흘리며 쓰러졌다. 그 열흘간의 항쟁은 단순한 지역적 저항이 아닌,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가장 숭고한 민주주의 투쟁으로 기록된다. 오늘, 우리는 그날의 희생과 용기를 다시 묻는다.
그러나 작금의 현실은 어떠한가.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와 이를 옹호하는 부역자들, 그리고 극우세력의 내란 미화는 과거의 비극이 결코 과거만이 아님을 경고한다. 국회와 국민의 압도적 저항으로 계엄 해제 결의안이 통과됐으나, 대통령의 친위 쿠데타 시도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다시금 위협했다. 야당과 시민사회는 이를 “국민이 준 권력으로 대통령 자신을 위한 친위 쿠데타”라 규정하며, “이 쿠데타를 이겨낸 것은 위대한 대한민국 국민”임을 선언했다.
5·18의 정신은 단순한 추모를 넘어, “과거가 현재를 돕고, 죽은 자가 산 자를 돕는다”는 한강 작가의 말처럼 살아 있다. 그날 광주에서 흘린 피와 눈물, 그 용기와 연대는 오늘의 우리에게 민주주의를 지키는 힘이 되고 있다. 과거의 희생은 오늘의 저항으로, 죽은 자의 목소리는 산 자의 결단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여전히 극우세력과 내란을 옹호하는 일부 기득권 카르텔은 5·18을 왜곡하고, 희생을 모욕하며, 사죄나 반성조차 없다. “5·18은 폭동”, “북한군 개입설” 등 반복되는 망언과 역사 부정은 민주주의의 뿌리를 흔드는 범죄다. 이들은 국민적 합의와 정의를 부정하며, 민주주의를 향한 공동체의 신뢰마저 위협한다.
이에 경고한다. 역사는 반복될 수 있지만, 국민의 각성과 연대는 결코 과거에 머물지 않는다. 5·18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명기하자는 논의가 다시 힘을 얻고 있는 지금, “부당한 권력에 맞선 국민 저항”과 “민주주의 실현의지”는 이 땅의 영원한 이정표다. 사죄와 반성 없는 기득권, 내란을 미화하는 세력에게 더 이상 관용은 없다. 민주주의를 유린하는 자들에겐 반드시 역사의 심판이 따를 것이다.
다가오는 대선은 단순한 정치적 선택이 아니라, 5·18의 정신을 계승하고 빛의 혁명으로 민주주의를 수호할 민주시민의 결단의 장이다. 압도적 민주주의 승리로, 다시는 이 땅에 내란과 비극이 반복되지 않는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 오월의 광주가 남긴 “연대와 희생, 그리고 저항의 정신”은 오늘의 우리 모두를 민주주의의 주인으로 세운다.
'쌉소리 블루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정 질서를 훼손한 자들, 이제 국민의 심판이 닥친다. (3) | 2025.05.26 |
---|---|
깐족 화법에 흔들리지 않은 '아웃복서', 이재명의 메시지 (5) | 2025.05.19 |
“사법 쿠데타, 국민의 분노가 법정을 뒤엎는다” (1) | 2025.05.05 |
사법부의 헌법 유린과 민주주의의 위기 (2) | 2025.05.02 |
사법의 칼날이 정치에 휘둘릴 때 (3)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