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팍다식 & 경제/식품 정보(스타트업)

“전자레인지 속 숨겨진 생태계: 당신의 주방에 사는 미생물들”

AI독립군 2024. 8. 14. 07:27

전자레인지 속 숨겨진 생태계: 당신의 주방에 사는 미생물들

 

가정용 및 실험실 기기 내부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를 조사한 결과 강력한 생태계가 발견되었다.

 

'극한 생물'은 뜨거운 열수 분출구, 영하의 남극 얼음, 지각의 압력을 견디는 등 극한의 환경에서도 생존하고 심지어 번성할 수 있는 생물체이다. 이제 이러한 세균이 보다 일상적인 환경인 전자레인지에서 발견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식기 세척기와 커피 머신과 같은 주방 가전제품에서 뚜렷한 미생물 군집이 발견되었지만, 전자레인지를 대상으로 자체적인 마이크로바이옴을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늘 미생물학 분야의 프론티어에 발표된 이 연구는 전자레인지를 가열하면 대장균이나 살모넬라 같은 식품 매개 질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를 완전히 죽인다는 일반적인 오해에 이의를 제기하는 기존 연구에 추가된다.

 

캐나다 에드먼턴의 프리랜서 미생물학자인 제이슨 테트로는 "우리는 1980년대부터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면 모든 것이 가열되어 모든 것이 죽는다고 배워왔다."라고 '세균 박사'로 알려진 프리랜서 미생물학자인 제이슨 테트로는 말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가전제품, 특히 공용 가전제품의 잠재적 병원균에 주목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그는 말했다.

 

모든 것을 다 죽인 것은 아니다

스페인 발렌시아 대학의 미생물학자 알바 이글레시아스와 그녀의 동료들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레인지, 사무실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 공유하는 전자레인지, 실험실에서 표본과 화학 용액을 가열하는 데 사용하는 전자레인지 등 30개의 전자레인지를 표본으로 채취했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페트리 접시에서 샘플을 배양하고 성장한 미생물의 속을 확인했다. 또한 전자레인지에서 채취한 물질의 DNA를 염기서열 분석하여 가전제품 내부의 박테리아 다양성을 파악했다.

 

배양액에서 총 101개의 박테리아 균주가 자랐다. 지배적인 세균은 바실러스, 마이크로코커스, 포도상구균에 속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자주 만지는 피부와 표면에 흔히 서식하는 세균이었다. 인체 피부 박테리아는 세 가지 유형의 전자레인지 모두에 존재했지만 가정용 및 공동 사용 가전제품에서 더 많이 발견되었다. 클렙시엘라와 브레분디모나스 등 식품 매개 질환과 관련된 몇 가지 박테리아 유형도 가정용 전자레인지의 일부 배양액에서 자랐다.

 

실험실 전자레인지는 가장 다양한 유전적 다양성을 지닌 박테리아를 포함하고 있었다. 연구진은 이러한 가전제품에서 방사선, 고온, 극도의 건조함을 견딜 수 있는 주방용 박테리아와 극한성 박테리아를 모두 발견했다.

 

스페인 발렌시아 대학의 미생물학자인 공동 저자 마누엘 포르카는 "다양한 미생물을 찾기 위해 지리적으로 아주 이국적인 곳에 갈 필요는 없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전자 레인지에서 발견한 호 열성 균주가 반복되는 방사선에서 살아남아 진화 적으로 '선택'되었을 수 있으며 독성 폐기물의 생물학적 치료와 같은 생명 공학 응용 분야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포르카는 다음 단계는 전자레인지 사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박테리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반 대중에게 이 연구의 의미는 더 간단하다. "전자레인지는 순수하고 깨끗한 곳이 아니다."라고 포르카는 말했다. 또한 두려워해야 할 병원균의 저장소도 아니라고 그는 말했다. 하지만 그는 잠재적인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해 주방 표면을 문질러 닦는 것처럼 주방 전자레인지를 자주 청소할 것을 권장한다.

 

doi: https://doi.org/10.1038/d41586-024-02553-9

 

참고문헌

1. Raghupathi, PK et al. 신청 환경. 미생물. 84 , e02755–17(2018).

2. Vilanova, C.et al. 과학. Rep.5 , 17163 (2015).

3. 이글레시아스, A., 마르티네스, L., 토런트, D. & Porcar, M. 프론트. 미생물.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microbiology/articles/10.3389/fmicb.2024.1395751/full (20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