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장어에서 영감을 얻은 모방 이온 발전
전기 장어에서 영감을 얻은 모방 이온 발전
더 큰 K+(이온 반경: 1.3Å)는 생물학적 칼륨 이온 채널을 통해 더 큰 Na+(이온 반경: 1.0Å)를 선택적으로 투과할 수 있으며, 선택성 비율이 1000배 이상 높다. 과학자들은 수십 년 동안 인공 시스템에서 이와 유사한 경이로움을 재현하려고 노력해 왔지만 자연 단백질 채널에서 발견되는 미세한 이온 구별을 따라잡지 못했다. 현재의 인공 칼륨 채널은 일반적으로 K+/Na+ 선택성 비율이 40배 미만이다.
연구팀은 12Å 길이의 4중 대칭 관형 선택성 필터인 생물학적 KcsA 칼륨 채널의 원자 구조를 재검토하여 칼륨 이온 결합 부위 역할을 하는 4개의 주기적 카르보닐 고리 층에서 놀라운 K+/Na+ 선택성이 파생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두 개의 인접한 카르보닐 고리가 정확히 겹치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대신 아미노산의 이면체 각도가 27도 이상의 회전을 일으킨다. 매우 강력한 K+/Na+ 선택성은 오랫동안 무시되어 왔지만 인공 칼륨 채널을 만드는 데 사용된 적이 없는 회전하는 카르보닐 고리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 설계 접근법에 따라 과학자들은 이중층 그래핀 시트에 옹스트롬 크기의 기공을 성장시키고 두 기공 가장자리를 카르보닐기 꼬임 고리로 장식한다. 최대 1295배의 동적 K+/Na+ 선택성 비율을 가진 인공 이온 채널은 원하지 않는 Na+의 수송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K+ 전도 속도는 3.5×107 이온/s에 가깝거나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칼륨 이온 채널의 약 40%에 해당한다.
K+ 투과 이벤트의 원자 궤적은 이중 이온 수송 메커니즘을 보여주며, 이는 성공적인 K+ 투과에는 최소 두 개의 칼륨 이온이 포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중층 나노 기공 출구에서 K+가 방출되는 것은 입구의 다른 K+로부터의 부드러운 노크온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이전에는 생물학적 이온 채널에서만 볼 수 있었던 현상이다. 그래핀 층 사이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수화물 물 분자에 의해 K-nH2O-K 삼중체가 형성되면 시너지 작용이 촉진된다.
생물학적 시스템의 원리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칼륨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가진 엔지니어링된 이온 채널은 자연에서는 불가능했던 새로운 응용 분야를 가능하게 한다.
연구진은 개념 증명 데모로 이온 전력을 수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이중층 옹스트롬 기공을 통해 동일한 농도의 전해질 용액을 혼합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이 생체 모방 장치는 1% 미만의 다공성을 가진 그래핀 시트를 생산하면서도 약 1200W/m2의 매우 높은 전력 밀도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칼륨-투과성(PoPee-OPG)에 의해 촉진되는 삼투압 발전은 전기뱀장어의 전기세포가 에너지를 변환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이미지 참조). 첫째, 동일한 총 이온 강도를 가진 용액을 사용하여 PoPee-OPG를 실행할 수 있다. 반면, 현재 사용 중인 염분 구배 발전(SGPG)은 필요한 희석 용액으로 인해 성능이 제한된다.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삼투압의 평형 때문에 전기뱀장어의 체액에는 실제로 저농도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PoPee-OPG의 눈에 띄는 향상은 이온 전원의 내부 저항을 크게 줄여 높은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비슷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전기뱀장어 모방 에너지 변환은 PoPee-OPG에 의해 개선되었다.
이 논문의 독특한 기공 구조와 작동 원리는 아직 이론적이지만, 적층 그래핀 또는 이중층 공유 유기 프레임워크 구성 요소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고도로 선택적인 멤브레인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생체 모방 설계는 천연 단백질의 놀라운 특성을 인간이 설계한 시스템에 통합함으로써 화학 분리, 이온 배터리, 정수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저널 참조
Li, J., 외. (2023) 차세대 전기-엘 모방 이온 발전을 위한 엄격한 K+/Na+ 선택성을 가진 인공 이온 채널 설계. 내셔널 사이언스 리뷰.
https://academic.oup.com/nsr/article/10/12/nwad260/7288669?login=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