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육과 붉은 고기는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한다'
가공육과 붉은 고기는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한다'
가공육과 가공되지 않은 붉은 고기가 전 세계적으로 2형 당뇨병 수치 상승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캠브리지 대학교 연구진은 하루에 햄 두 조각만 먹어도 2형 당뇨병 위험이 15% 증가한다고 밝혔다.
유럽의 3,300억 유로 규모의 육류 산업에 대한 또 다른 공격으로 간주될 이 보고서는 전 세계적으로 5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2형 당뇨병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2050년까지 10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강조했다.
연구자들은 유럽 20개국, 미주, 지중해, 동남아시아, 서태평양 지역의 약 197만 명을 대상으로 메타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랜싯 당뇨병 및 내분비학 저널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공육과 붉은 육류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니타 포루히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가공육과 가공되지 않은 붉은 육류 섭취와 제2형 당뇨병의 향후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증거를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이는 인구의 제2형 당뇨병 발병을 줄이기 위해 가공육과 가공되지 않은 붉은 육류의 섭취를 제한하라는 권장 사항을 뒷받침한다."
가공육은 어떻게 당뇨병을 유발할까?
EU가 자금을 지원하는 제2형 당뇨병 프로젝트인 InterConnect를 통해 31개 연구 그룹에서 분석한 데이터에 따르면, 매일 가공육 50g(햄 약 두 조각)을 섭취하면 10년 동안 제2형 당뇨병 위험이 15%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되지 않은 붉은 고기, 가공육 및 가금류의 총 소비 수준을 계산하여 세 가지 주요 노출 변수를 결정했다. 제2형 당뇨병에 대한 두 가지 정의가 사용되었다. 하나는 기본 결과로, 하나는 보조 결과로 사용되었다.
가금류 소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했지만 이 연구는 매일 100g 섭취로 인해 제2형 당뇨병 위험이 8 % 더 높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금류와 제2형 당뇨병 사이의 연관성은 아직 불확실하며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라고 포루히 교수는 덧붙였다.
결과적으로 연구자들은 가금류가 가공되지 않은 붉은 육류 및 가공육에 대한 건강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권장했지만 가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분석된 대부분의 연구가 미국과 유럽 인구에서 이루어졌고 아시아 및 기타 지역의 연구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지리적 불균형을 발견했으며 "다양한 인구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연구자들은 말했다.
가금류로 인한 제2형 당뇨병 위험 감소
영국 농업원예개발청의 영양 및 건강 책임자 케이트 아서는 인터뷰에서 이 연구가 하루에 100g 이상의 붉은 육류와 50g 이상의 가공육 섭취와 관련된 잠재력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는 Eatwell 가이드에 따른 정부의 권장 사항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는 적색육 및 가공육을 주당 최대 500g 또는 하루 70g(조리 중량)까지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라고 그녀는 말했다.
아서는 매일 90g 이상의 가공육과 적색육을 섭취하는 사람들은 70g 이하로 줄여야 하며, 대부분의 영국 성인은 하루 평균 70g 미만의 적색육과 가공육을 섭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 육가공협회(BMPA)의 대변인은 모든 사람이 육류 섭취 여부를 선택할 권리가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선택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건전한 과학에 근거해야 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너무 많다. 이 연구에 포함된 주의 사항과 언론에서 자신 있게 보도하는 건강 우려 주장을 비교하는 것은 유익하다. 이 둘은 서로 다른 그림을 그리며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고 건강한 선택을 더 어렵게 만들 뿐이다."
대변인은 "육류 섭취와 제2형 당뇨병 발병을 연결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이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다"는 캠브리지 연구 자체의 입장을 강조했다. 또한 이 실험은 질병 위험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보다는 육류 섭취가 혈당 특성에 미치는 단기적인 영향만을 평가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출처: 란셋, 당뇨병 및 내분비학 출판일: 2024년 8월 21일
DOI: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dia/article/PIIS2213-8587(24)00179-7/full-text
저자: 춘샤오 리 박사. Tom R P Bishop, ME. 후미아키 이마무라, PhD. Stephen J Sharp, MSc. Matthew Pearce, PhD. 소렌 브레이지, PhD.